자율운항선박 얼라이언스 발족·5대 드론 완성체 프로젝트 추진 등 산업 생태계 강화
[보안뉴스 강초희 기자] 정부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자율운항 선박과 드론 산업 육성 전략을 발표했다. 관계부처 합동으로 10월 1일 열린 ‘AI 대전환 릴레이 현장간담회’에서 공개된 이번 계획은 민관 협력과 규제 완화를 통해 2030년 완전자율 기술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자율운항선박 산업 육성 로드맵 세부 내용 [자료: 정부]
자율운항선박 분야에서는 2030년까지 완전 자율운항선박(Level 4) 초도 기술을 확보하고 2031년부터 실증에 돌입한다는 청사진이 제시됐다. 세계 자율운항선박 시장은 2024년 1,022억달러에서 2032년 1,805억달러 규모로 76% 확대될 전망으로, 정부는 국내 조선 3사와 함께 ‘K-자율운항선박 얼라이언스’를 발족해 핵심 기술 개발과 실증을 추진한다.
또한, 총 6,000억원 규모의 2단계 R&D 사업을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방식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울산·포항 근해에서의 원격 제어와 충돌 회피 실증을 규제 샌드박스 방식으로 허용했다.
아울러 AI 지능형 자율운항 기술을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해 R&D와 시설투자에 대한 세제 혜택도 부여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해양사고의 83%를 차지하는 인적 사고를 최소화하고 운용비용을 22% 이상 절감하며 물류흐름을 10% 이상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드론 산업 육성 로드맵 세부 내용 [자료: 정부]
드론 분야에서는 국산 기술 기반의 AI 드론을 단계적으로 고도화해 2031년 완전자율 비행(5단계)을 구현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3단계(임무위임)에 머물러 있는 기술 수준을 2028년 4단계(원격감독)로 끌어올리고, 최종적으로 AI가 스스로 판단·제어하는 엔드투엔드(End to End) 방식으로 전환한다.
정부는 소방, 항공, 시설, 물류, 농업 등 5대 분야를 중심으로 드론 완성체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산불 진화용 고중량 기체 △조류 탐지 및 군집 제어 기체 △건설 현장 및 시설물 점검용 정밀 드론 △100㎞ 이상 장거리 물류 드론 △한국형 병해충 탐지 스마트팜형 기체 등이 대표적이다.
더불어 드론 제조 생태계를 위해 드론 AI·SW 기업지원센터와 스마트 드론팩토리 구축 방안이 추진되며, 해커톤과 임무특화 교육을 통해 차세대 인재 양성 체계도 마련된다. 규제 측면에서는 야간·비가시권 특별비행 승인 절차를 개선하고, 공공 목적 긴급 비행 특례를 확대하는 등 제도 개선도 병행한다.
정부는 이번 계획을 통해 자율운항 선박과 드론 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국제표준화 대응과 글로벌 협력에도 적극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2025년 4분기에는 ‘K-자율운항선박 얼라이언스’ 발족과 ‘K-Drone to World Festival’ 개최가 예정돼 있으며, 2026년 이후 본격적인 실증과 상용화 단계로 진입할 전망이다.
[강초희 기자(sw@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