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로써 행정 데이터 유출 등 보안 우려로 그동안 인터넷망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던 민간 AI 기술을, 정부 내부망에서도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됐다.
보안 문제로 인해 내부망에서 민간 AI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어, 정책 기획이나 대국민 서비스 개선 등에 제약이 있었다.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와 행안부는 보안이 확보된 인프라를 구축해 민간의 최신 AI 기술을 정부 업무 전반에 신속하게 도입할 수 있도록 ┖범정부 AI 공통기반┖을 중점 사업으로 추진한다.
공통기반은 공개된 행정문서·데이터를 AI 모델과 연계하여, 내부망에서도 활용 가능한 AI 챗서비스 2종(삼성SDS, 네이버클라우드)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AI 공통기반 인프라를 활용한 기관별 특화 AI 서비스 도입도 지원한다.
행안부는 ‘범정부 AI 공통기반’을 활용해 과기정통부, 행안부, 식약처를 대상으로 ‘지능형 업무관리 플랫폼’ 시범서비스를 개시한다.
이 플랫폼은 AI를 중심으로 메일, 메신저, 영상회의 등 소통·협업 도구를 유기적으로 연계해 단순·반복 업무를 줄이고, 개인·기관의 내부 행정 문서·데이터까지 활용해 맥락 있는 AI 답변을 생성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은 “공공부문에 AI를 적극 활용해 정책 결정을 고도화하고, 과학화함으로써 최고의 성과를 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면서 “이번 서비스 개시를 계기로 AI 3대 강국 실현에도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도록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여이레 기자(gore@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