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강초희 기자] 제주특별자치도는 국토교통부 지정 전국 최대 규모(891㎢) 드론 전용 규제 특구인 ‘드론특별자유화구역’ 사업을 통해 다양한 드론 기반 행정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제주 드론특별자유화구역 조성 사업 요약 [자료: 제주도청]
제주도는 2021년 6월(1차), 2023년 6월(2차) 드론특별자유화구역으로 지정돼 올해 6월까지 운영했으며, 3차 연장 공모에 선정돼 2027년 7월까지 사업을 이어간다. 2021년부터 현재까지 29개의 드론 관련 사업을 추진했으며, 올해는 유선 드론을 통한 안전 모니터링, 드론 활용 관광, 실종자 수색 드론 항로 제작 등 여러 사업을 추진한다.

▲(좌) 드론 활용 안전모니터링과 (우)드론 활용 안전 모니터링 인파 분석
우선 도내 축제·행사 안전 모니터링을 위해 6시간 이상 체공 가능한 유선 드론을 투입했다. 실시간 모니터링과 AI 기술로 인파 밀집도와 행사 참여 인원수를 분석하는 시스템이다. 2024년 ‘제주 워터밤’을 시작으로 총 12개(’24년 9개, ’25년 3개) 축제에 활용했으며, 남은 하반기 주요 행사에도 적용할 예정이다.
또한, 드론, 도심항공교통(UAM) 관광 활성화를 위해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을 활용한 체험·홍보도 추진했다. 드론 체험은 실시간 통신으로 드론 움직임에 맞춰 흔들리는 의자에 착석한 참가자가 AR 기기를 통해 짐벌 카메라 영상을 실시간 시청하는 방식이다. 도내 축제·행사 등 여러 장소에서 운영해 총 210명이 체험했고, 만족도 조사 결과 5점 만점에 4.8점을 받았다. 도심항공교통(UAM) 시뮬레이터 및 VR 콘텐츠 체험은 안전체험관에서 상설 운영하며, 도내외 26개 행사에 참가해 총 9595명이 이용했다.
아울러, 부속섬 생활 물류 개선을 위한 드론 배송 사업은 올해 5월부터 지속적으로 운영해 약 170회, 330개 물품(물품가액 700만원)을 배송하는 등 실생활 밀착형 서비스를 하고 있다.
한림읍 비양도에서는 ‘2025 제주 환경지킴이 현장 실천 활동’, ‘싱가포르의 주요 인플루언서 초청 팸투어’에 드론 배송 체험을 제공했다. 최근에는 인도네시아 환경 운동가 ‘니나’와 참여자 30여명이 함께 해안가 플로깅을 하고, 비양리마을회가 수거 공병으로 만든 한정판 마키토리 그린티 제품을 드론으로 배송받았다.
실종자 수색 드론 항로 제작 사업도 연내 2회 실증할 예정이다. 도내 주요 실종자 발생지역(오름, 해안가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종의 드론에서 활용 가능한 수색 항로를 제작해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수색 활동을 지원한다.
도내 공공용 드론을 대상으로 드론 성능점검 패드를 활용한 성능 진단 시스템도 진행한다.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개별 드론의 유지보수 계획과 활용 방안을 제시해 드론 안정성과 운용 효율을 높일 계획이다.
김남진 제주도 혁신산업국장은 “제주가 2021년부터 드론 특별자유화구역을 통해 많은 사업을 발굴했으며, 서비스 모델로 발전해 상용화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라며 “드론 관련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다양한 행정 서비스를 도입해 도민의 삶이 안전하고 편리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강초희 기자(sw@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