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위험지역 정비·재난대책비 증액으로 피해 예방·복구 지원 확대
[보안뉴스 강초희 기자] 행정안전부가 2026년도 예산안을 76조 4,426억원 규모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이번 예산안은 이재명 정부 첫 예산안으로 세계 최고 인공지능(AI) 민주정부 구현, 국민 안전 확보, 자치발전 및 균형성장 촉직, 사회통합 및 과거사 해결 등 새정부 핵심과제를 차질 없이 이행하는 데 주안점을 뒀다.

▲2026년 행정안전부 세부 예산안 [자료: 행정안전부]
예산안을 살펴보면 지방교부세가 69조 3,459억원, 인건비 및 기본경비는 4,302억원이며, 특히 사업비는 올해 본예산대비 2조 303억원(43.8%)이 증가한 6조 6,665억원을 편성했다.
사업비 예산 편성 현황을 살펴보면 △자치발전·균형성장이 2조 5,921억원으로 사업비 예산의 38.88%를 차지했으며, △국민 안전이 2조 5,197억원(37.80%)으로 뒤를 이었다. 또 △AI 민주정부 및 정보화가 8,649억원(12.97%), 사회통합 등 6,898억원(10.35%)이다.
국민 안전 분야에 편성된 2조 5,197억원은 전체 예산인 76조 4,426억원의 약 3.3%에 해당한다. 이난 국민 안전 분야와 유사한 2025년 재난 안전 분야 확정 예산 1조 6,681억원와 비교하면 약 51% 증액됐다.
국민 안전 분야 예산은 △기후위기와 대규모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첨단기술 기반 예측·감시 체계 강화 △국민안전산업펀드 조성으로 첨단기술 기반의 국민안전산업 성장 촉진 △재해위험지역 정비 확대 △재난 피해 주민 지원 강화를 중점으로 한다.

▲2026년 국민 안전 분야 예산안 [자료: 행정안전부]
재난안전 AI 관제체계 및 데이터 구축 사업 예산은 124억원으로, 2025년 51억원 대비 두 배 이상 확대됐다. 위성·CCTV·드론 등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생활안전 정보를 제공하고 지능형 CCTV 관제 시스템 확산을 지원한다.
또한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 드론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현장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34억원을 신규 반영했다.
첨단기술 기반 안전기업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국민안전산업펀드도 50억원 규모로 조성한다.
침수·붕괴 위험 해소를 위한 재해위험지역 정비 사업은 2025년 추경 9,443억원에서 2026년 1조 488억원으로 증가했다.
호우·태풍·산불 등 대규모 재난 발생 이후 주민들의 생활 안정을 위한 재난대책비는 2025년 본예산 3,600억원, 추경 1조 200억원에서 2026년 1조 100억원으로 증액됐다. 이를 통해 대규모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복구와 이재민 지원이 가능할 전망이다.
이번 국민 안전 분야 예산안은 첨단기술을 통한 재난 대응 고도화와 함께 재해 예방 및 피해 복구 지원을 강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으며, 예산안은 올 12월에 확정될 예정이다.
[강초희 기자(sw@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