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코엑스 ‘IPCON 2025’서 大공개!
“좋든 싫든, 지금 우리는 ‘지식재산(IP) 캐피탈리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IP가 인공지능(AI)을 만나, 어떻게 돈이 되는지. 그 매커니즘에 천착해야하는 이유입니다.”
AI 대전환 시대를 맞아, 현대인은 매일 엄청난 양의 정보와 데이터에 치여 산다. 하지만 현재 이 세상을 움직이는 진짜 힘은, 해당 정보를 IP로 치환하고 자산화하는 이들, 바로 ‘IP 연금술사’로부터 나온다.

▲이정우 IP바인 대표
오는 26일 오후 서울 삼성동 코엑스서 열리는 ‘IPCON 2025’(국제 IP전략 콘퍼런스)의 서막을 화려하게 올려줄 주인공, 이정우 IP바인 대표는 AI를 IP수익화의 강력한 촉매제로 보고 있다.
이 대표는 “단순한 창작과 그 축적은 이제 시작일 뿐”이라며 “핵심은 그것을 포트폴리오화하고 금융화해, 결국 ‘수익’으로 직결시키는 전략적 사고”라고 강조했다.
이런 흐름은 단순한 기술 진보가 아니라, 이른바 ‘IP 캐피탈리즘’이라는 새로운 질서의 탄생을 의미한다. AI와 결합된 IP는 이제 더 이상 고정된 자산이 아니다. 특허와 저작권, 데이터, 알고리즘, 브랜드 등 수많은 형태의 지식재산이 융합돼 하나의 금융 자산으로 탈바꿈하고, 실제 시장에서 거래되며, 투자 대상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대표는 “이제 우리는 질문을 바꿔야 한다”며 “기존의 ‘무엇을 만들었는가’에서, ‘그것을 어떻게 보호하고, 확장시키며, 수익화할 것인가’로 사고의 스펙트럼을 전환시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시대적 전환점에서, IP를 바라보는 금융적 시각은 모두에게 요구되는 필수 장착템이 됐단 얘기다. 누구나 자신의 창작물과 기술, 아이디어 등을 통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 지금, 우리 모두는 ‘IP 연금술사’로 거듭날 수 있단 게 이 대표의 설명이다.
“이 흐름을 누구보다 빠르게 읽고, 다양한 산업을 넘나들며 IP와 금융의 교차점에서 새로운 시장을 실제로 창조한 한 인물의 사례를, 이번 콘퍼런스를 통해 전격 공개하려 합니다.”
그는 어떻게 자신의 IP를 전략적으로 다루고 수익화해, 신규 비즈니스 모델로 만들어 냈을까? 오는 26일 코엑스 현장서 우리 모두가 지닌 IP의 가능성과 그 확장력을 확인할 수 있다.
[IP전략연구소(kdong@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