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암호체계 전환 토대 마련할 것”
[보안뉴스 조재호 기자] 샌즈랩은 한전KDN, 케이사인 등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2025년 양자내성암호 시범 전환 지원’ 사업을 수주했다고 16일 밝혔다.

[자료: 샌즈랩]
이번 사업은 양자컴퓨터의 발전에 따라 현행 암호체계를 양자내성암호(PQC)로 전환하기 위해 마련됐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에너지·의료·행정 등 총 3개 분야별 정보시스템의 PQC 전환을 지원한다. 이번 사업 통해 적용 사례를 확보할 계획이다.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상호 운용성 등의 기술 검증도 진행한다. 전 과정에 대한 PQC 생태계 구축 토대를 마련한다.
컨소시엄은 지능형 검침 인프라(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의 PQC 시범 전환 및 검증을 진행한다. AMI는 국민의 전체 전력 사용량을 원격으로 검침하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개방형 시스템이다.
한전KDN은 AMI 시스템의 양자내성 전환 실증 환경을 구축한다. 케이사인은 기존 레거시와 호환성 유지를 위한 하이브리드 인증 시스템 마련한다. 샌즈랩은 암호전환 관리 시스템 개발을 담당한다.
김기홍 샌즈랩 대표는 “샌즈랩의 AI NDR 솔루션인 MNX을 활용해 향후 산업별 PQC 전환 모니터링 표준을 수립하고 전환을 지원하는 보안 평가 솔루션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재호 기자(sw@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