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와 지구를 위한 포용적·지속가능 AI 선언문’ 발표... 美·英 서명 안 해
[보안뉴스 박은주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유상임 장관을 수석대표로 10일(현지시간)부터 이틀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인공지능(AI) 행동 정상회의’에 참석해 AI 공공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고 12일 밝혔다.
![](https://www.boannews.com/media/upFiles2/2025/02/348546981_1053.jpg)
▲유상임 장관이 AI 행동 정상회의에서 AI 관련 국내 주요 정책을 설명하고 있다[자료: 과기정통부]
AI 글로벌 거버넌스를 논의한 이번 정상회의는 재작년 영국에서 열린 ‘AI 안전성 정상회의’와 지난 5월 한국에서 열린 ‘AI 서울 정상회의’에 이어 세 번째로 열렸다.
유 장관은 회의 첫날 리사 수 AMD 최고경영자(CEO) 등과 함께 ‘경쟁력 있고 지속 가능한 AI’ 활용 방안을 논의한 자리에서 선제적 법·정책 마련과 인프라 제공, AI 교육 확대 등을 정부 역할로 제시했다.
그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두 번째로 제정한 AI 기본법, 올해 민관 합동 구축 예정인 국가 AI 컴퓨팅 센터, 저전력·고성능 AI 반도체 개발 및 AI 인재 양성 프로그램 등 국내 주요 정책을 소개했다.
정상회의는 주요 결과물로 60개국이 참여한 ‘인류와 지구를 위한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AI에 대한 선언문’을 발표했다.
과기정통부는 선언문에 지난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제시된 안전과 혁신, 포용이라는 가치에 기반한 ‘공익을 위한 AI’, ‘지속 가능한 AI’ 목표가 담겼다고 말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행동을 시작하자는 국제사회 의지가 제시됐다고 전했다.
다만, 선언문에 AI 기술과 산업을 주도하는 미국과 영국이 서명하지 않았다. AI 개발과 규제 균형을 맞추자는 행사의 대의명분이 무색해졌다는 평가가 나왔다.
아울러 유 장관은 정상회의 기간 미국, EU, 싱가포르 등 주요 국가와 양자 면담을 진행했다.
유 장관은 린 파커 미국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OSTP) 수석부실장을 만나 과학기술 분야 협력 현황 및 양국의 AI 정책을 공유하고 향후 한미 간 지속적인 과학기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그는 또 EU 기술 주권·안보 및 민주주의 수석부위원장, 싱가포르 디지털개발정보부 장관 등을 만나 공동 기술개발, 규범 상호인증체계 마련 등에 대해 논의했다.
[박은주 기자(boan5@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