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6-4420, CVE-2016-4421
[보안뉴스 문가용] 현지 시각으로 4월 30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대략 30일에서 5월 1일로 넘어오는 밤 사이에 미국의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을 통해 발표된 취약점들이다.
.jpg)
1. CVE-2016-4417
Wireshark 1.12.10 이전의 1.12.x 버전과 2.0.2 이전의 2.x 버전의 GSM A-bis OML dissector의 epan/dissectors/packet-gsm_abis_oml.c에 있는 오프바이원 오류로 원격의 공격자가 DoS 공격을 할 수 있게 해준다.
2. CVE-2016-4418
Wireshark 1.12.10 이전의 1.12.x 버전과 2.0.2 이전의 2.x 버전의 ASN.1 BER dissector의 epan/dissectors/packet-ber.c에 있는 오류로 원격의 공격자가 조작된 패킷을 가지고 DoS 공격을 할 수 있게 해준다.
3. CVE-2016-4419
Wireshark 2.0.2 이전의 2.x 버전의 SPICE dissector의 epan/dissectors/packet-spice.c에 있는 오류로 capability data를 제대로 처리하지 않는다. 이로써 원격의 공격자가 조작된 패킷을 통해 DoS 공격을 할 수 있게 해준다.
4. CVE-2016-4420
Wireshart 2.0.2 이전의 2.x 버전의 NFS dissector의 오류로 원격의 공격자가 조작된 패킷을 통하여 DoS 공격을 할 수 있게 해준다.
5. CVE-2016-4421
Wireshark 1.12.10 이전의 1.12.x 버전, 2.0.2 이전의 2.x 버전의 ASN.1 BER dissector의 epan/dissectors/packet-ber.c 오류로 원격의 공격자가 특정 패킷을 통해 DoS 공격을 할 수 있게 해준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