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보안뉴스 문가용] 현지 시각으로 4월 28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대략 28일에서 29일로 넘어오는 밤 사이에 미국의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을 통해 발표된 취약점들이다.
1. CVE-2016-1386
시스코 Application Policy Infrastructure Controller Enterprise Module(APIC-EM) 1.0(1)의 API에 있는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조작된 attribute-value를 통해 관리자 통보를 스푸핑할 수 있게 된다. Bug ID CSCux15521과 동일하다.
2. CVE-2016-1389
시스코 WebEx Meetings Server(CWMS) 2.6의 오픈 리다이렉트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사용자들을 임의의 웹 사이트로 우회시킬 수 있게 해준다. Bug ID CSCuy44695와 동일하다.
3. CVE-2016-4349
시스코 WebEx Productivity Tools 2.40.5001.10012의 search path 취약점으로 로컬 사용자가 트로이 목마 cryptsp.dll, dwmapi.dll, msimg32.dll, ntmarta.dll, propsys.dll, riched20.dll, rpcrtremote.dll, secur32.dll, sxs.dll, uxtheme.dll 등을 통하여 높은 권한을 얻을 수 있게 된다. Bug Id CSCuy56140과 같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gi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