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택트 시대를 말하는 지표... MS의 팀즈 화상회의 3월 1,000% 증가

2020-04-12 13:21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url
보름 새 비디오 콘퍼런스 사용 9억분에서 27억분으로 3배 증가
회의종료, 출석체크, 실시간소음억제, 맞춤배경설정 등 AI 활용 기능 대거 확대


[보안뉴스 권 준 기자] 마이크로소프트가 원격근무 트렌드 리포트(Remote work trend report)를 발표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한 재택과 원격근무에 대한 트렌드 분석 결과와 협업 커뮤니케이션 허브인 팀즈(Teams)의 새롭게 추가된 기능도 함께 공개했다.


▲마이크로소프트 팀즈로 화상 회의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사진=MS]

마이크로소프트는 해당 연구를 위한 업무 동향 지표(Work Trend Index)를 마련, 지속적으로 사람들이 생산성 툴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연구하고 업무 환경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탐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팀즈를 활용한 화상 커뮤니케이션(video calls in Teams)은 3월에만 1,000% 이상 증가했다. 3월 31일 하루에만 팀즈 비디오 콘퍼런스 사용 시간은 최대치인 27억 분으로, 3월 16일 9억 분에 비하면 보름 만에 3배 늘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처럼 화상회의가 활발해진 이유 중 하나로 대면 업무가 제한되는 상황에서 얼굴을 보며 소통할 수 있는 화상회의의 장점을 꼽았다. 뇌 과학자들에 의하면 아이 콘택트가 도파민, 코티졸 등 호르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줘 안정감을 주는데 마이크로소프트는 재택근무 간 화상회의도 이와 다르지 않다고 분석했다.

화상 커뮤니케이션 국가별 추이를 보면, 팀즈 미팅 시 비디오 기능을 활용하는 비중은 노르웨이와 네덜란드가 6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호주, 이탈리아, 칠레, 스위스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일본 등은 30%대의 비중을 보였다. 일부 국가에서는 상대적으로 인터넷 불안정과 낮은 디바이스 접근성으로 비교적 비디오 콘퍼런스에 사용이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의 팀즈 사용량도 눈에 띄게 늘었다. 2월 초부터 3월 31일까지 모바일 사용자가 300%가량 증가했는데, 이는 특히 글로벌 교육현장과 정부와 관련한 산업군에서의 사용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팀즈 모바일은 현재 전 세계 175개국에서 교육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것이 단지 새로운 사용자 수가 증가한 것 뿐만 아니라, 매주 팀즈를 사용하는 시간 또한 증가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이는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등의 유럽지역에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한 가지 더 괄목할 만한 결과는 팀즈 하루 평균 사용 시간 증가다. 3월 한 달간 팀즈를 로그인해서 로그아웃 하기까지의 평균 시간이 1시간 이상 길어졌는데,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결과를 통해 업무 환경이 과거에 비해 더 유연해졌다고 분석했다. 즉, 하루 평균 노동 시간이 확장된 것이 아니라 업무 외적인 일과 밸런스를 맞추며 개인별 최적의 시간대를 찾아 생산성을 향상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마이크로소프트는 인간 상호작용을 증가시키고, 업무에서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돕는 새로운 기능을 추가했다.

‘회의 종료(end meeting)’ 기능으로 이제 모임 주최자가 클릭 한 번으로 회의를 끝낼 수 있게 됐다. ‘출석 체크(participant report)’ 기능은 미팅의 주최자가 미팅 참가자의 접속 및 퇴장 시간을 다운로드해 확인할 수 있다. 출석 체크 기능은 특히 교육 현장에서 교사가 학생의 출석 여부를 확인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I 기반의 ‘맞춤 배경 기능(custom background)’은 기존의 배경 블러 처리에서 업그레이드되어 백그라운드를 밝고 깔끔한 홈 오피스로 전환할 수 있다.

향후에는 개인이 커스터마이징한 이미지를 배경으로 업로드할 수 있는 기능도 포함할 예정이다. 또 올해까지 키보드나 개가 짖는 소리 등 미팅 간 산만한 소음을 줄이기 위해 인공지능을 활용한 ‘실시간 소음 억제 기능(real-time noise suppression)’도 도입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리포트는 개인과 조직의 데이터는 보호하면서 회의, 이메일, 채팅 등 수조개의 시그널을 분석해 업무의 패턴과 동향을 파악했다. 여기에는 마이크로소프트365 기반의 마이크로소프트 그래프(Graph) 기능이 사용, AI 기반으로 전세계의 오피스 업무 습관, 상호관계 등을 분석해 생산성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마이크로소프트 팀즈를 활용한 화상 커뮤니케이션은 3월 31일 하루에 최고치인 27억분을 기록했다[이미지=MS]

[2020년 3월 팀즈 사용량 추이]
-3월 간 비디오 커뮤니케이션(화상회의) 1000% 이상 증가
-3월 31일 하루 비디오 콘퍼런스 시간 27억분(4,500시간) 기록
-3월 일간 평균 팀즈 사용 시간 1시간 이상 증가
-3월간 주간 스트림 영상 수 5배 증가, 분당 수백시간 분량의 영상 업로드(스트림(Stream): 팀즈에서 실시간 이벤트와 미팅 녹화 등 제공하는 서비스)
-2월 초부터 3월 31일까지 주간 모바일 팀즈 사용자 300% 증가
-현재 전 세계 175개국, 18만3,000개의 학교와 학군에서 팀즈를 교육용으로 사용
-국가별 팀즈 화상회의 사용 비중 : 노르웨이/네덜란드 60%, 호주 57%, 이탈리아 53%, 칠레 52%, 스위스 51%, 스페인 49%, 영국, 캐나다, 스웨덴 47%, 멕시코 41%, 미국 38%, 일본 39%, 프랑스 37%, 남아프리카 공화국 36%, 싱가포르 26%, 인도 22%
[권 준 기자(editor@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헤드라인 뉴스

TOP 뉴스

이전 스크랩하기


과월호 eBook List 정기구독 신청하기

    • 라온피플

    • 인콘

    • 엔텍디바이스

    • 핀텔

    • 아이비젼

    • 아이디스

    • 씨프로

    • 웹게이트

    • 지오멕스소프트

    • 하이크비전

    • 한화비전

    • ZKTeco

    • 비엔에스테크

    • 유니뷰코리아

    • 원우이엔지

    • 지인테크

    • 홍석

    • 이화트론

    • 다누시스

    • 테크스피어

    • TNTKOREA

    • 슈프리마

    • 인텔리빅스

    • 시큐인포

    • 미래정보기술(주)

    • 한국씨텍

    • 비전정보통신

    • 와이즈콘

    • 경인씨엔에스

    • 트루엔

    • 성현시스템

    • 위트콘

    • 케비스전자

    • 현대틸스
      팬틸트 / 카메라

    • 다후아테크놀로지코리아

    • 한결피아이에프

    • 세연테크

    • 구네보코리아주식회사

    • 포엠아이텍

    • 넥스트림

    • 씨게이트

    • 안랩

    • 파고네트웍스

    • 앤앤에스피

    • 신우테크
      팬틸드 / 하우징

    • 에프에스네트워크

    • 네이즈

    • 케이제이테크

    • 셀링스시스템

    • 인빅

    • 아이엔아이

    • 미래시그널

    • 엣지디엑스

    • 새눈

    • 인더스비젼

    • 일산정밀

    • 주식회사 에스카

    • 솔디아

    • 지에스티엔지니어링
      게이트 / 스피드게이트

    • 네티마시스템

    • 에이앤티글로벌

    • 알씨

    • 에이앤티코리아

    • 레이어스

    • 메트로게이트
      시큐리티 게이트

    • 이엘피케이뉴

    • 미래시그널

    • 엘림광통신

    • 엔시드

    • 엔에스티정보통신

    • 제네텍

    • 넥스텝

    • 혜성테크원

    • 포커스에이아이

    • 티에스아이솔루션

    • 엠스톤

    • 글로넥스

    • 유진시스템코리아

    • 카티스

    • 세환엠에스(주)

Copyright thebn Co., Ltd. All Rights Reserved.

시큐리티월드

IP NEWS

회원가입

Passwordless 설정

PC버전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