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보이스피싱 피해 6000억원...민관 협력 통해 AI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기술 개선
[보안뉴스 한세희 기자] 정부와 민간이 한 팀이 되어 보이스피싱에 맞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는 10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보이스피싱 대응 R&D 민관 협의체’ 발족식을 열었다.
지난달 28일 정부 합동으로 발표한 ‘보이스피싱 근절 종합대책’ 중 ‘AI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차단체계 구축’ 과제 수행의 첫걸음이다. 민관이 협력, AI를 활용해 국민 피해를 줄인다는 목표다.

▲윤창렬 국무조정실장이 2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보이스피싱 근절 종합대책 관계부처 합동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자료: 연합]
협의체엔 과기정통부와 IITP를 비롯,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경찰청,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관계 부처와 공공기관이 참여한다. 이동통신 3사와 삼성전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주요 민간·R&D 기관도 함께한다.
공공과 민간이 보유한 보이스피싱 관련 데이터를 안전하게 공유하고, 연계·분석해 AI탐지 모델의 성능을 높이는데 초점을 맞춘다. 기관별 의견을 수렴해 새로운 과제를 지속 발굴할 예정이다.
발족식에선 협의체 운영 방향과 함께 △비식별(가명) 데이터 공유 플랫폼 민관 활용과 확산 방안 △현장 수요를 반영한 R&D 개발 △기관별 대응 현황 공유 및 R&D 연계·적용 방안 등이 논의됐다.
참석자들은 경찰청, KISA,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이 수집한 차단 데이터와 범죄 의심 정보를 가명 처리해 연구·개발에 제공하면 AI 기반 탐지 모델의 정확도와 현장 적용성이 향상될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연구 성과가 현장에서 즉시 쓰일 수 있도록 제도적·기술적 연계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이도규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관은 “AI 기술을 활용한 보이스피싱 조기 탐지·예측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기술을 이용한 범죄엔 더 앞선 기술로 맞서야 한다”고 밝혔다.
[한세희 기자(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