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V2X·자율주행차·스마트시티 분야 민관 간담회 개최
[보안뉴스 김성미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과기정통부)는 ‘5G V2X·자율주행차·스마트시티 분야 민관 간담회’를 5월 16일 서울 양재동 페이토 호텔에서 개최했다. 5G+ 전략 10대 핵심산업 중 5세대(5G) 이동통신 V2X, 5대 핵심 서비스 중 자율주행차와 스마트시티 분야 육성방안에 대한 민·관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는 민원기 과기정통부 2차관[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번 간담회는 지난 4월 8일 발표한 5G+ 전략의 후속조치다. 현장의 의견을 바탕으로 5G V2X, 자율주행차 및 스마트시티 분야 기술·서비스 경쟁력 확보를 위한 민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5G+ 전략 10대 핵심산업은 네트워크 장비와 차세대 스마트폰,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지능형 CCTV, 미래형 드론, 커넥티드 로봇, 5G V2X, 정보보안, 엣지컴퓨팅 등이다. 이중 V2X(Vehicle to Everything)는 유·무선망을 통해 차량이 다른 차량이나 모바일 기기, 도로 등 사물과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나 그 기술을 가리킨다. 5대 핵심 서비스는 실감 콘텐츠와 스마트팩토리,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 디지털 헬스케어 등이다.
이날 간담회는 ①5G+ 전략 및 5G V2X·자율주행차·스마트시티 관련 정책 추진 현황 ②5G 융합 서비스(자율주행, 스마트시티) 추진 현황 ③5G 기반 스마트시티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 먼저 발표하고 현장의견과 애로사항 등을 청취하는 순서로 진행됐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5G+ 전략산업 중에서도 5G V2X, 자율주행차 및 스마트시티 분야는 5G 서비스 확산을 가속화해 5G 연관시장의 빠른 성장을 이끌 핵심 분야라는 점에 공감했다. 또한, 5G 이동통신은 차량-차량, 차량-인프라간 초저지연 통신을 제공해 보다 안전한 자율협력 주행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와 함께 5G V2X 인프라 환경 구축을 위한 핵심기술 확보와 표준화 주도 필요성을 건의했다. 아울러 국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고 조기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5G 기술을 활용한 차별화된 대규모 자율주행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실증사업이 추진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스마트시티 분야와 관련해서는 5G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를 발굴하고, 세종 5-1 생활권, 부산 에코델타시티 등 국가시범도시를 지능형 CCTV, 드론, 자율주행차, 실감형 콘텐츠 등 5G+ 산업 및 서비스의 테스트베드로 속도감 있게 조성해야 한다는 논의가 진행됐다.
민원기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5G는 혁신적 융합서비스 등 신산업 창출을 촉진하는 핵심 인프라”라며, “우리나라는 이러한 5G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하면서 새로운 융합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기회를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5G V2X, 자율주행차 및 스마트시티 분야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 민관 협력과제 발굴, 규제 개선 등 시장의 요구사항에 신속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김성미 기자(sw@infothe.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