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강현주 기자]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이 국내 피지컬 AI 핵심 기술 경쟁력 확보와 신속한 산업 확산을 위해 현장 목소리를 듣고 논의했다.
류 차관은 30일 서울 상공회의소에서 국내 피지컬 AI 산학연 애로사항을 수렴하고 지원 방안을 발굴하는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피지컬 AI는관성, 마찰, 중력 등 물리법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물리현실과 상호작용해 실제 현장에서 사람과 같이 능동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AI이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이 30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피지컬 인공지능(AI) 산학연 간담회 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자료: 과기정통부]
과기정통부는 류제명 제2차관 취임 이후 AI G3 도약을 위해 매주 AI 산학연 등 현장 의견을 청취하고 정책적 지원책을 발굴하는 릴레이 간담회를 하고 있다. 이번 간담회에선 생산성 제고 및 사회경제 전반의 혁신을 촉진할 핵심 기술로 부상 중인 피지컬 AI의 경쟁력 확보 및 신속한 산업 확산 기반 조성 방안이 논의됐다.
이날 행사에선 김욱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혁신·글로벌 PM이 피지컬 AI의 개요와 글로벌시장 현황을 공유했다. 마음AI에서 피지컬 AI 육성에 필요한 연구개발·실증, 인력 양성 등 종합적 지원책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 장영재 KAIST 교수의 피지컬 AI 국내외 연구동향까지 총 3개의 발제가 진행됐다.
이후 전문가를 중심으로 피지컬 AI 육성 방안에 대한 토론을 진행했다. 유태준 마음AI 대표, 장하영 써로마인드 대표, 오창흔 엑시스소프트 대표, 이성호 씨메스 대표, 박인준 아리카 대표, 장동의, 장영재 KAIST 교수, 유환조 포항공대 교수, 이규빈 GIST 교수, 유남현 경남대학교 교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일연 인공지능컴퓨팅연구소장, IITP 김욱 PM 등이 참석했다.
류제명 차관은 “피지컬 AI는 제조·물류뿐 아니라 농업·의료·국방 등 우리의 일상과 산업을 혁신할 차세대 범용 AI 기술로서 AI G3 도약을 위해 피지컬 AI와 함께 제조 등 주력 분야에서 융합·확산이 중요하다”며 “향후 AI분야와 제조업계 간 융합과 시너지 창출이 잘 이루어지도록 산업부 등 관계 부처와 긴밀하게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강현주 기자(jjoo@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