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SMB솔루션, KT DS, 아카마이코리아, 웨스턴 디지털, 퀀텀, Dell 코리아 등
[보안뉴스 김태형] 24일 보안·IT산업 동향에서 코스콤(구 한국증권전산)은 BC카드가 빅데이터 사업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으며, 포티넷코리아는 지난 23일 기존 및 잠재 고객들을 대상으로 ‘포티넷 데이: SDN NFV 클라우드 가상화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전했다.
코스콤-BC카드, 빅데이터 사업 협력 ‘맞손’
코스콤(구 한국증권전산)과 BC카드가 빅데이터 사업 협력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양사는 24일 서울 BC카드 본사에서 코스콤 정연대 사장과 BC카드 채종진 부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빅데이터 제공 및 활용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MOU에 따라 코스콤은 주가·종목 정보 등 금융투자업계 데이터를, BC카드는 카드결제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국내 최초의 증권업계와 카드업계간 빅데이터 융합을 통해 새로운 솔루션을 발굴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기존 증권사, 운용사, 자문사 등 금융투자업계에 보다 안정적이고 정확한 분석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금융정보 고도화 및 자본시장 활성화를 이끌어 나간다는 계획이다.
포티넷코리아, ‘포티넷 데이:SDN NFV 클라우드 가상화 세미나’ 개최
포티넷코리아(지사장 조현제, www.fortinet.com/kr)는 23일 양재동 엘타워에서 기존 및 잠재 고객들을 대상으로 ‘포티넷 데이: SDN NFV 클라우드 가상화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SDN/NFV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의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구축 전략과 함께, 복잡하고 정교한 가상 환경에서의 멀티-터넨트, 멀티-레이어 보안성 강화 전략 및 다양한 글로벌 구축사례가 소개되었다. 또한, 데모 시연을 통해 100GE 대용량 데이터 센터 방화벽의 성능, VM웨어 NSX 플랫폼 사용자를 위한 포티게이트-VMX 구동, SDN 오픈스택 플랫폼 사용자를 위한 포티게이트-VM 구동 등이 시연되어 참석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라온시큐어, 시큐업 세미나 개최
라온시큐어(대표이사 이순형)가 PG, VAN, 간편결제서비스 기업 보안담당자 대상으로 FIDO 기반 생체인증플랫폼과 비대면실명확인 및 금융거래 이상징후탐지(FDS) 등 차세대 간편인증/결제 보안기술 및 구축사례를 소개하는 시큐업(Security IQ UP) 세미나를 3월 23일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비현금(Cashless) 시대, 지급결제 생태계 변화에 따른 바이오인증 보안전략’을 주제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2015년 여신전문금융업법 개정에 따른 전자지불대행(PG) 업체 및 부가가치통신망(VAN) 업체들의 보안강화 방안과 함께 오픈마켓, 소셜커머스, 간편결제서비스 기업 보안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차세대 간편인증/결제 관련 다양한 기술동향 및 구축사례’에 대해서 주제발표 및 질의응답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미디어웹, PC 복구 및 관리 솔루션시장 공략
미디어웹(대표 김종인)이 개인용 PC 보호·복구 솔루션인 ‘하드보안관9’을 비롯해 학교 컴퓨터실 교육지원 통합 솔루션인 ‘클래스M’, 기업 관공서 PC 통합관리 솔루션 ‘오피스M’ 등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개인·교육·기업을 아우르는 PC 복구 및 통합관리 솔루션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나섰다. 미디어웹은 이를 위해 각 제품별 기능을 고도화하고 지난해 GS 소프트웨어 품질 인증과 행정업무용 소프트웨어 선정을 취득한데 이어 올초 조달청 나라장터에 3가지 제품 등록을 마치고, 개인·교육·기업용 시장을 세분화해 영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개인용 PC 복구 솔루션인 ‘하드보안관9’은 미디어웹이 관리프로그램을 공급하고 있는 전국 7,000여개 피카PC방에 안정적으로 무료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올해 초부터 안랩의 PC 보안 소프트웨어인 V3(V3 Lite, V3 365 클리닉)에 PC 복구솔루션으로 기본 탑재해 서비스하고 있다. 하드보안관9은 바이러스, 해킹 툴로부터 PC 손상을 완벽 보호하며, 순간복구 및 자동복구, 수동복구, 스케줄 복구 기능을 비롯 터보부팅, 저장장치 보안, 복구 폴더 제외, PC 전원 예약 등 다양한 PC 보호 및 복구 기능을 제공한다.
시놀로지, 미드레인지급 NAS 시스템 품질 조사서 세계 1위
시놀로지(www.synology.com)가 미드레인지급 NAS 시스템 조사에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IT 마케팅 전문업체인 테크타깃(TechTarget)에서 실시한 ‘제10회 NAS 시스템 품질 어워드 조사’에서 시놀로지는 HPE, 넷앱, EMC, 델, IBM 등, 여러 엔터프라이즈급 스토리지 기업보다 월등히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시놀로지는 조사대상 업체들 중 가장 신생 기업임에도 불구하고 최고 점수를 받았다. 조사에 참여한 사용자들은 시놀로지의 랙스테이션(RackStation) 모델인 XS, XS+, 또는 플러스 시리즈를 사용했다. 이 제품들은 시놀로지의 하이엔드급 랙 서버로, 안정적이고 빠른 파일 전송 및 백업 성능을 자랑한다. 특히 중소기업 시장을 타깃으로 하고 있는 시놀로지는 제품 기능 부문과 초기 제품 품질 부문에서 각각 6.31점과 6.57점으로 최고점을 기록하며, 우수한 평균 점수를 기록했다.
한성SMB솔루션, 기업용 NAS QNAP TDS-16489U 출시
NAS·서버 전문기업 큐냅(QNAP)의 제품을 국내시장에 공급하는 한성SMB솔루션(대표 권석주, www.hansungsmb.co.kr)는 스토리지 서버와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역할을 동시에 충족시켜 기업의 TCO(Total Cost of Ownership)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탁월한 경제성의 하이퍼 컨버지드 NAS 서버(Hyper Converged NAS Server) ‘TDS-16489U’를 국내시장에 출시한다고 밝혔다. TDS-16489U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스토리지 서버가 하나의 섀시에 통합된 형태로, 인텔의 서버용 제온(Xeon) E5-2600 v3 프로세서 두 개가 탑재돼 있다. 최대 1TB의 DDR4 2133MHz/LRDIMM(16 DIMM) 메모리 장착이 가능하다. 여기에 세 개의 독립적인 12Gbps SAS 컨트롤러와 4개의 Gen3. X16 PCIe슬롯을 탑재, GPI 패스스루용 AMD Radeon R7과 R9 시리즈 등에서 가상화 애플리케이션도 충실히 지원한다.
KT DS, ‘클라우드팩’ 포털 출시
KT그룹의 IT 서비스 전문기업, KT DS(대표 김기철, www.ktds.com)는 올레 유클라우드 비즈(ucloudbiz.olleh.com)와 KT DS의 자체 상품을 묶은 클라우드 패키지 서비스, ‘클라우드팩’ 포털(www.cloudpack.co.kr)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클라우드팩’ 포털은 KT의 ‘올레 유클라우드 비즈’ 총판사인 KT DS가 기업고객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인프라 및 오픈소스 기반 상품을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기 위해 마련한 서비스 포털 사이트로, ‘유클라우드 비즈’ 상품을 3년 약정 기준 최대 20%까지 할인 판매한다. 또 시스템 사용량 관리 기능과 상품 구입 전, 미리 사용금액을 예상해 볼 수 있게끔 상품 계산 기능도 제공한다. 특히, ‘클라우드팩’ 포털은 KT DS의 핵심역량인 오빅스(OBICs) 기술이 탑재된 자체 서비스를 제공한다. ‘오빅스’는 오픈소스,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정보보안 등 KT DS의 다섯 가지 핵심기술을 의미하며, 지난 해 비전선포식을 통해 대외에 공개됐다.
아카마이코리아, 2015년 4분기 인터넷 현황 보고서 발표
아카마이코리아(대표 손부한, www.akamai.co.kr)가 발표한 ‘2015년 4분기 인터넷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2015년 4분기 인터넷 평균 속도 26.7Mbps로 전 세계 1위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20% 빠른 속도다. 2015년 4분기 전 세계 인터넷 평균 속도는 5.6Mbps로 전 분기 대비 8.6%, 전년 동기 대비 23% 빨라졌다. 아카마이에 접속한 전 세계 고유 IPv4 주소 개수는 8억 1천만개를 넘었다. 광대역 인터넷(4Mbps·10Mbps·15Mbps·25Mbps) 도입률도 한국은 각각 97%, 81%, 63%, 37%로 모두 지난 분기에 이어 전 세계 1위 자리를 지켰다. 전 세계적으로 4K급 영상 전송이 가능한 연결 속도 15Mbps급 광대역 인터넷 보급률은 19%로 지난해 대비 54% 증가했다. 특히 25Mbps급 인터넷 보급률은 전년 대비 74%나 늘었다. 기간통신망사업자가 제공하는 망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를 조사한 모바일 평균 속도는 우리나라가 11.8Mbps로 아태지역에서 1위, 전세계는 영국(26.8Mbps), 스페인(14.0Mbps), 핀란드(12.8Mbps), 슬로베키아(12.0Mbps)에 이어 5위에 올랐다.
웨스턴 디지털, 클라우드 업체에 ‘HGST 액티브 아카이브 시스템’ 구축
웨스턴 디지털(WDC)은 뉴질랜드의 클라우드 서비스 선도 업체인 레베라(Revera)에 HGST의 액티브 아카이브 시스템(Active Archive System)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액티브 아카이브 시스템은 레베라의 오브젝트 스토리지 제품인 레베라 볼트(Revera Vault, 이하 볼트)의 클라우드 데이터 저장소로 사용된다. 이를 통해 레베라는 비용 효율적인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백업, 아카이빙, 재해복구, 빅데이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웨스턴 디지털은 레베라 볼트의 전반적 성능, 확장성, 데이터 내구성이 강화돼 볼트를 사용하는 기업의 데이터 접근성과 비즈니스 영속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볼트는 14PB 규모 이상의 데이터의 경우 분산형 스토리지 환경으로 서비스한다. 기업은 물리적으로 분산된 아키텍처를 사용해 데이터에 손쉽게 접근하고, 일정한 성능을 유지하며, 데이터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퀀텀, ‘Q-Cloud Protect’, ‘아마존 웹 서비스 마켓플레이스’서 제공
퀀텀(이강욱 지사장, www.quantum.com/kr)은 자사의 ‘Q-Cloud Protect’를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아마존 웹 서비스(AWS) 마켓플레이스’에서 클라우드 기반 어플라이언스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Q-Cloud Protect’는 퀀텀의 디스크 백업 스토리지인 DXi(Quantum DXi®) 시스템과 함께 운영되는 프라이빗 클라우드(Private Cloud) 기반의 가상 중복제거(deduplication) 어플라이언스로, 아마존 웹서비스(AWS)를 통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백업 및 재해 복구(DR)을 지원하며 기업 데이터를 재해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단일 사이트(single sites) 운영 기업이나 오프-사이트(off-site) 보관 시 테이프 대신에 백업 및 재해 복구(DR)를 위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적합하다. ‘Q-Cloud® Protect’는 아마존 퍼블릭 마켓플레이스(Amazon Public Marketplace)에서 바로 사용이 가능하며, 향후 AWS 정부 클라우드(GovCloud) 및 C2S 환경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Dell 코리아, ‘기업 IT의 미래 준비 현황과 과제’ 보고서 발표
Dell 코리아(대표 김경덕, www.dell.co.kr)가 국내 기업의 IT 기술 트렌드에 대한 대비 현황과 향후 계획을 다룬 ‘기업 IT의 미래 준비 현황과 과제’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는 Dell 코리아와 한국 IDG가 지난 2016년 1월 13일부터 1월 27일까지 2주간 임직원 수 100명 이상 기업의 IT 관리자 23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 IT 환경의 미래에 대한 준비 현황은 아직 미흡한 상태로 진단된다. IT 환경의 미래에 대한 변화는 인식하고 있지만, 준비는 부족하다는 응답은 절반이 넘는 59%를 차지한 반면, 현재에 집중하고 있다는 응답은 전체의 20%, 충분히 대비하고 있거나 선도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응답은 21%를 차지하는데 불과했다. 이는 기업들이 미래 IT 환경 구축을 위한 투자비 확보가 어렵고, 기존 IT 환경의 유지에 많은 노력을 들였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김태형 기자(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