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차량 등록 수 1,679만대, 여성운전자수 만도 1천만 명을 넘어서 전체 운전자의 40%에 달하는 가운데 차량 주차 시, 연락을 위해 비치해둔 명함, 핸드폰번호 등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사례가 늘고 있어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업계 및 관계기관에 따르면 운전자의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강력사건은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나고 있다.
첫째 주차 시 비치한 연락처로 “차 빼달라”고 전화한 후 강도로 돌변하거나 모텔 등 에서 약점을 알아내 비치된 개인연락처로 연락해 금품을 요구하는 형태다.
실제 부산에서는 차량 내에 있는 명함 연락처를 이용해 차량이동을 요청 한 뒤 주차장내에 아무도 없는 것을 확인하고 강도로 돌변한 사건이 발생 했으며 서울 강남에서는 주차해 둔 차에 적혀있던 연락처로 전화를 걸어 "차를 빼달라"고 요청한 뒤, 밖으로 나온 여성운전자를 협박해 금품을 빼앗는 사건도 일어났다.
둘째 남성 운전자 등을 중점적으로 노려 약점을 캔 뒤 금품을 뜯어내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경북 김천에서는 지난 2일 인터넷 채팅으로 만난 여성이 다른 사람과 성 매매를 한다는 사실을 알고 몰래 모텔까지 쫓아가 상대 남자의 차량에서 연락처를 알아낸 뒤 “미성년자와 성 매매 사실을 경찰에 알리겠다”고 협박해 금품을 받아 챙긴 사건이 발생했고, 전남 여수 에서는 차량 유리창에 부착된 휴대전화 번호를 이용해 교통사고를 낸 것처럼 연락해 접근한 후 운전자와 성관계를 가진 뒤 "간통 사실을 부인에게 알리겠다"며 협박해 2차례에 걸쳐 4천만 원을 뜯어낸 경우도 일어났다.
이런 강력사건들이 종종 발생하지만, 주차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는 달리 대책이 없어 운전자들은 고민이었다.
이에 따라 주차 시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노출하지 않고도 운전자 호출 또는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 서비스가 속속 등장해 널리 확산되고 있다.
먼저 IT정보통신기업 큐세미의 파킹콜(www.parkingcall.kr) 서비스는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 시 본인의 명함이나 휴대폰번호를 남기는 대신 1688-9175번호를 사용함으로써 개인연락처의 노출 없이 운전자 호출 또는 연결이 가능하다.
파킹콜 서비스를 사용하게 될 경우 휴대폰번호 등이 노출되어 스팸 문자나 보이스피싱(전화사기)등을 수신하는 위험과 번거로움에서 해방될 수 있으며, 여성운전자들의 경우 각종 위험부담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월 990원의 저렴한 이용료가 매력적이며 신용카드, 모바일 결제, OK캐쉬백 사용등 다양한 결제방식으로 편의성을 높였다.
파킹콜서비스를 이용하려면 홈페이지(www.parkingcall.kr)에서 신청 하거나 1688-9173으로 가입하면 된다.
또한 114 생활정보기업 코이드가 제공하는‘114 안전번호 서비스’는 차량 앞 유리에 차주의 번호가 아닌, 콜센터 번호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콜센터로 연락을 하면 상담원이 상황을 판단해 서비스 가입자에게 연결한다.
파킹콜서비스를 운영하는 큐세미 유양하 이사는 “파킹콜서비스는 날로 증가하는 운전자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비용 부담 또한 크게 줄여 가입 문의가 쇄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길민권 기자(reporter21@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