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강현주 기자] 광주테크노파크·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가명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인 ‘개인정보 이노베이션 존’ 운영 기관으로 추가 지정됐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송경희)는 데이터 처리 환경의 안전성을 높여 연구자와 기업들이 가명정보를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두 곳을 추가 지정했다고 31일 밝혔다.

[자료: 개인정보위]
개인정보위는 외부전문가로 구성된 지정심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국비지원 부문에 광주테크노파크, 자체구축 부문에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을 지정했다.
선정된 기관들은 운영 요건에 맞는 시설·기능 등을 갖추고 최종 현장실사를 거쳐 내년 상반기 중 본격 운영될 예정이다.
이번에 추가 지정된 기관들은 각각 ‘의료·헬스케어’, ‘교육학술’ 분야를 중심으로 안전하면서도 유연한 데이터 활용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로써 이노베이션 존 운영기관은 기존 5개 기관(국가데이터처(舊.통계청), 국립암센터, 한국도로공사, 한국사회보장정보원, 더존비즈온)에서 7개 기관으로 늘어나게 되며, 더욱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앞으로 개인정보위는 이노베이션 존 운영 기관 간 데이터 연계·활용을 지원하기 위해 연계 허브를 구축(2026년 예산안 29억 원)한다. 운영기관 간 협업 체계를 마련 및 이노베이션 존 제도 개선 등을 통해 한 차원 높은 수준의 혁신적인 개인정보 활용을 지원할 계획이다.
[강현주 기자(jjoo@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gif)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