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기술의 융합이 새로운 신뢰 체계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것”
[보안뉴스 조재호 기자] 라온시큐어는 23일 웹(Web)3 생태계와 인공지능(AI)의 융합을 통한 데이터 주권 및 초연결 사회의 비전을 제시한 ‘2025 시큐업&해커톤’을 진행했다.
이번 행사는 국내외 보안·인증 업계 전문가와 학계, 산업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해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됐다. 올해로 13회차를 맞은 시큐업 세미나에서 라온시큐어는 웹3와 AI 기술 융합이 가져올 정보보호 산업의 새로운 변화와 발전 방향을 공유했다.

▲이순형 라온시큐어 대표가 개회사를 하고 있다. [자료: 보안뉴스]
이순형 라온시큐어 대표는 행사를 시작하며 “데이터 주권은 디지털 사회에서 인류의 기본권이며, 생애 전 주기를 아우른 디지털 신원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웹3는 AI 빅데이터 독점과 악용 우려를 완화하고 신뢰 기반 프레임워크를 완성하고, AI는 탈중앙 환경의 웹3가 합리적이고 자율적인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보완하는 상호 보완적 관계”라며 “두 기술의 융합이 새로운 신뢰 체계와 사회적 가치를 만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라온시큐어는 웹3·AI 기반 초연결 플랫폼 서비스 로드맵도 공개했다.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인증 기술을 토대로 웹3 생태계를 확장하고, 정보보호 통합 솔루션과 AI 기술을 결합한 보안·인증 서비스를 통해 정보보호 산업 발전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NFT·스테이블코인 등 웹3 토큰경제 플랫폼, 디지털ID(DID)와 AI 기반 의료·교육·공공·금융 데이터 플랫폼, 양자내성암호(PQC) 및 영지식증명(ZKP) 기반 디지털 인증 플래폼 등 온·오프라인, 메타버스 시공간을 넘어선 미래지향적인 초연결 플랫폼 방향성을 제시했다.
이어진 세션에서 사용자 인증과 접근 통제, 데이터와 정보자산에 대한 제로트러스트 전략과 함께 최근 국정원이 발표한 국가보안망체계(N²SF) 가이드라인1.0, AI 보안, PQC 기반 정보보호 등 주요 보안 현안과 대응 전략을 공유했다.
김용성 원광대 교수는 의료 분야 DID 신원 인증 사례를 통한 민감 데이터 보호와 신뢰 확보 방안을, 김선교 건국대 교수는 디지털 배지의 실제 운영 경험을 공유했다.

▲2025 시큐업&해커톤 행사장 전경 [자료: 보안뉴스]
라온시큐어 자회사 라온메타는 메타데미 트랙을 통해 웹3·AI 기반 메타버스 혁신 방향과 플랫폼, 콘텐츠 등을 소개했다. 우운택 카이스트 교수는 공간지능과 확장현실(XR)이 여는 K-메타버스를 주제로 미래를 예측했으며, 채재병 SK텔레콤 부장은 메타버스 디바이스 트렌드와 획기적 변화 가능성을 전망했다. 이후 이어진 패널 토의에서는 K-메타버스 산업의 성장 가능성에 대해 열띤 논의를 펼쳤다.
글로벌 연사들도 참석해 글로벌 보안·인증 현안을 공유했다. 미즈마 이츠노브 사이버링크스 CTO는 라온시큐어의 ‘옴니원 디지털아이디’를 활용한 일본 자격증명 시장 진출 전략을 소개했으며, 케빈 가르시아 코스타리카 공대 교수는 한-코 오픈DID 기반의 디지털 주권 강화와 신뢰 가능한 신원 체계 구축을 협력 필요성을 강조했다. 벤자민 구글 안드로이드 엔터프라이즈 개발 수석의 제로트러스트 보안 발표도 이목을 끌었다.
행사와 함께 진행된 해커톤 결선에서는 본선에 오른 10개 팀이 블록체인과 AI 기술을 활용한 현실적이고 창의적인 사업 아이디를 선보이며,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이순형 대표는 “이번 행사는 웹3와 AI 융합이 만들어낼 초연결 사회의 미래 비전을 제시한 뜻깊은 자리였다”며 “라온시큐어는 소버린 AI 시대의 핵심인 데이터 주권 확보에 앞장서고, 지속적인 기술 혁신으로 글로벌 디지털 신뢰 인프라 구축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조재호 기자(sw@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