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제요원 확인률 2.2배 증가하며 시민 안전 골든타임 확보
2026년부터 ‘생성형 AI’ 시범 도입, 문맥 기반 관제로 한 단계 진화
[보안뉴스 강초희 기자] 서울시가 전국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열린 ‘제30회 정보통신 우수사례 발표대회’에서 대통령상(최우수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번 성과는 지능형 CCTV의 오탐지 문제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관제 효율을 크게 높여 시민 안전망을 한층 강화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은 결과다.

▲서울시가 ‘제30회 정보통신 우수사례 발표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자료: 서울시]
서울시는 현재 11만 5,000대의 CCTV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 중 4만 2,995대를 지능형으로 고도화해 범죄 예방과 시민 안전 확보에 활용하고 있다.
관제요원 1명이 평균 1,199대의 화면을 확인해야 하는 구조이다 보니 육안관제에는 한계가 있었고, 이에 서울시는 950억원을 투입해 지능형 CCTV를 도입했다. 그 결과 범죄 발생률은 5% 감소하고, 검거율은 4% 향상됐으며, 시민 체감 안전을 나타내는 약자동행지수도 21% 증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기존 지능형 CCTV는 합성곱신경망(CNN) 기반 판별형 기술에 의존해 맥락을 이해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서울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학·연과 자치구가 참여하는 ‘지능형 CCTV 활성화 계획’을 수립하고, 맞춤형 이벤트 설정, 오탐 데이터 학습, 사물·사람 구분 학습 등을 추진했다. 그 결과 불과 4개월 만에 성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서울시 생성형 AI 접목시 예시 사례 [자료: 서울시]
지능형 CCTV의 상황 판별 정확도는 36%에서 71%로 두 배 가까이 향상됐고, 관제요원의 이벤트 확인률도 37%에서 82%로 높아졌다. 무엇보다 고질적인 문제였던 불필요한 탐지 건수는 월 454만건에서 53만건으로 줄어들며 약 8.8배 감소라는 성과를 냈다. 이로써 관제의 품질과 속도가 동시에 개선됐고, 사건 처리 건수는 이전보다 6배 이상 증가했다.
서울시는 7개월 간 AI 학습을 통해 지능 수준을 기존의 ‘1세 옹알이 단계’에서 ‘5세 어린이 수준’까지 끌어올렸다고 설명했다. 이제는 개가 엎드려 있어도 쓰러진 사람으로 오인하지 않고, 사물·동물·사람을 구분해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한 것이다.
서울시는 2026년부터 지능형 CCTV에 생성형 AI를 접목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기존 CCTV가 단순히 ‘이상 유무’만을 판별했다면, 앞으로는 ‘왜 이상한지, 어떤 맥락인지’를 설명할 수 있는 단계로 진화하게 된다.
서울시는 이번 대통령상 수상을 계기로, 생성형 AI 기반 관제 모델을 자치구 전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AI 안전도시 서울’을 구현하고, 나아가 대한민국 공공안전의 표준 모델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지능형 CCTV는 이제 단순한 감시를 넘어 상황을 읽고 문맥을 이해하는 생성형 AI 관제로 진화하고 있다”며 “서울시는 오탐을 줄이고 대응 속도를 높여 시민의 골든타임을 지키며, ‘가장 안전한 도시 서울’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강초희 기자(sw@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