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조재호 기자] “보안 체계 전반을 개선하기 위해서 관련 전문가들과 유관 부처, 기관과 소통하고 있습니다. 의견이 모이고 어느 정도 방향이 수립되면 관련 계획을 발표할 계획입니다.”
12일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취임 50일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연이은 침해사고와 관련해 개별 대응에 집중하는 것보다 보안 체계 전반을 살피는 방안을 구상 중이라고 강조했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이 기자간담회에서 답변하고 있다. [자료: 과기정통부]
이날 간담회는 과기정통부 정책 방향 발표와 함께 기자들의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과기부는 3대 비전으로 △AI 강국 △과학기술 5대 강국 △함께 잘 사는 대한민국을 꼽고 이를 2030년까지 이뤄내겠다고 했다. 과학기술부총리 부활을 토대로 과학기술과 AI를 선도하는 부처로 자리매김하겠다고도 밝혔다. 질의응답은 최근 KT 무단 소액결제 사태와 정보보안 대책 관련 질문이 쏟아졌다.
배 장관은 “정보보호 업계와 관련해서는 나름의 소통을 해왔고, 정부 부처도 해킹 이슈에서 자유로울 수 없어 남의 이야기가 아니”라며 “과기정통부 차원에서 류제명 2차관을 중심으로 근본적인 정보보호 체계를 강화할 수 있는 태스크포스를 꾸려 최대한 대응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근본적인 프로세스 개선 없이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며 “면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정보보호 강화에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배 장관은 AI 기술 발전과 함께 보안의 중요성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AI를 통해 프로그래밍 접근성은 크게 개선됐으며, 이제는 전공자가 아니더라도 간단한 해킹툴은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면 지능화·고도화된 위협에 대비할 원천적인 대책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여러 방면에서 의견을 청취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배석한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은 “AI 정책과 버금가는 수준으로 중요하게 살피면서 근본적 방안을 마련해 달라는 장관에 요청이 있었다”며 “특별 TF를 구성해 지금까지의 유출 사고와 이번 KT 사태를 계기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침해 사고를 당한 기업이 신고하지 않으면 정부 당국의 개입이 어려운 현행 제도의 개선 필요성과 함께 기업 내부 정보 접근 등을 이유로 침해를 당하고서도 ‘쉬쉬’하는 기업들의 보안 인식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배 장관은 “신고 체계를 바꾸기 위해 국회와 소통 중”이라며 “통신사를 비롯해 기업들도 정부를 믿고 문제가 생겼을 때 바로 신고하거나 상의할 수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근 침해사고를 겪은 통신사들은 침해 사고에 대응할 자본과 인력을 가지고 있지만, 중소기업들은 보안에 투자할 여력이 없다”며 중소기업에 대한 침해사고도 신경 써서 살피겠다고 전했다.
[조재호 기자(sw@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