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정부부처와의 협업을 기반으로 공공 분야에 인공지능(AI)을 접목하는 ‘부처 협업 기반 AI 확산’ 사업의 2024년 신규 과제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전 국민 AI 일상화 추진의 일환으로 다양한 공공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AI 서비스를 개발·실증하기 위한 ‘부처 협업 기반 AI 확산’ 사업을 2022년부터 추진해 왔다. 동 사업은 AI를 통해 공공의 업무 부담을 경감하고 서비스의 신뢰도를 높임으로써 최종 수요자인 국민이 그 혜택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또한 사업에 참여한 AI 기업은 동 사업을 통해 공공 분야 래퍼런스를 기반으로 타 산업 등으로 서비스를 확산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올해는 지원 규모를 대폭 확대(2023년 80억원→2024년 240억원)해 기존 추진 과제들과 함께 10개 신규 과제에 대한 기술개발과 실증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부·처·청 등 중앙행정기관 수요 공모(2024.1.4.~2.2.)를 통해 과제를 기획했으며, 이후 AI 서비스를 개발할 수행기관을 공모(2024.3.18.~4.25.)하고 평가를 거쳐 최종 선정을 완료했다.
[자료=과기정통부]
2024년 신규 과제들은 보훈, 환경, 교통, 안전, 고용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 분야로 구성됐으며 총 3년 동안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각 부처와의 협업을 통해 공공데이터를 안전하게 수집·가공할 수 있는 환경(안심존)에서 데이터를 학습하고 AI 서비스를 개발하게 되며, 마지막 해에는 실제 수요기관 테스트베드 등을 활용한 실증을 거쳐 성능 고도화 후 각 공공 분야 현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과기정통부 김경만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AI의 기술과 성능이 빠르게 진화하고, 우리 삶 전반에 걸친 AI의 효과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며, “사회적 파급력이 높은 공공 분야에 AI를 선도적으로 접목함으로써 국민들이 일상에서 혜택을 체감할 수 있도록 AI 일상화 노력을 지속하는 것은 물론, 국내의 경쟁력 있는 AI 서비스가 공공뿐 아니라 민간과 글로벌 시장에도 확산·진출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