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블록스 게임화폐 ‘로벅스’ 무료 생성기 받았다간 채굴 노예 된다

2021-10-18 00:40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url
디스코드를 통해 유포되는 암호화폐 채굴(마이너) 악성코드...윈도우 디펜더 비활성화 시켜
불법 프로그램들을 알려지지 않은 출처에서 설치하는 행위 자제해야


[보안뉴스 원병철 기자] 최근 로블록스 게임의 화폐인 ‘로벅스’를 무료로 생성시켜 준다는 ‘생성기’가 디스코드를 통해 유포되고 있어 사용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이 생성기를 설치하면 몇 가지 악성코드가 설치되는데, 그 중 하나는 이더리움 채굴(마이닝)을 수행하는 악성코드다.


▲‘무료 로벅스생성기’ 디스코드 채팅방[자료=안랩 ASEC]

안랩 ASEC 분석팀에서는 국내에서 유포 중인 악성코드들을 모니터링 하던 중 디스코드 메신저를 통해 마이너 악성코드가 유포 중인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공격자는 ‘무료 로벅스생성기’ 디스코드 채팅방에서 로블록스라는 게임의 화폐인 로벅스를 무료로 생성해주는 프로그램이라고 소개하며 다운로드를 유도한다.

만약 해당 ‘로벅스생성기-다운로드’ 링크를 클릭하면 압축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압축을 해제하면 ‘robux free tool.exe’라는 이름을 가진 실행 파일을 확인할 수 있는데, 만약 이 파일을 실행할 경우 다양한 악성코드들이 단계별로 설치된다. 먼저 ‘robux free tool.exe’ 파일을 실행하면 에러 메시지 박스가 보이는데, 이는 공격자가 의도한 결과로서 이러한 메시지를 확인한 사용자들은 단지 서버와의 연결이 되지 않아서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여길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후 사용자가 ‘확인’ 버튼이나 X를 클릭해 메시지 박스를 종료할 경우 실제 악성 행위가 수행된다. 이는 샌드박스 환경을 우회하기 위한 Anti Sandbox 기법으로, 메시지 박스를 클릭하지 않는 이상 악성 행위가 수행되지 못하기 때문에, 샌드박스와 같은 자동 분석 환경에서 행위를 감출 수 있다.

이렇게 실행되는 robux free tool.exe는 오토핫키로 개발됐으며, 윈도우 디펜더 예외 경로에 %AppData% 및 %Temp% 경로를 등록하여 진단되지 않도록 설정한 후 다음 주소에서 추가 악성코드를 설치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hxxps://bitbucket[.]org/wdawfg2sa/1/downloads/roTokenGrabber.exe

설치되는 roTokenGrabber.exe 악성코드는 VMProtect로 패킹됐지만 동일하게 오토핫키로 개발되었는데, 이 악성코드 또한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하지만 차이점이 존재하는데, 직접적으로 다운로드하는 대신 다음과 같은 텀블러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페이지에 존재하는 다운로드 URL을 참고하여 install.exe를 설치한다.


▲설치되는 악성코드[자료=안랩 ASEC]

hxxps://chiqao1y18eg1a.tumblr[.]com/post/661746225405722624
hxxps://cdn.discordapp[.]com/attachments/885082747083837474/885084266185228358/install.exe
hxxps://cdn.discordapp[.]com/attachments/885082747083837474/885086081349988362/svchost.exe hxxps://cdn.discordapp[.]com/attachments/885082747083837474/885085259597754378/lol.exe
hxxps://cdn.discordapp[.]com/attachments/885082747083837474/885084898862456882/dc.exe


install.exe를 설치한 후에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Apps Script를 이용해 감염 시스템의 기본적인 정보들을 전송한다.

hxxps://script.google[.]com/macros/s/AKfycbyEFoVoRATQK6Q3sjm9PAV23lpfpn_a4d6hvh7424nwv7jLIfu-MsZ71tUYTwq-74rm/exec?
cp=[CPU 이름]&
gp=[그래픽카드 이름]&
ip=[IP주소]&
time=[시간]&
anti=[설치된 안티 바이러스 이름]&
what=overwatch&
at=&
url=[install.exe URL 주소]



▲다운받아 설치되는 악성코드[자료=안랩 ASEC]

install.exe는 다운로더 악성코드들 중 마지막이며, 실질적인 3개(svchost.exe, lol.exe, dc.exe)의 악성코드를 위의 텀블러 주소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설치되는 악성코드들 중 dc.exe는 Defender Control이라고도 불리는 유틸리티로서 윈도우 디펜더 안티바이러스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특이사항이 있다면 커맨드 라인으로 동작 가능해서 사용자의 인지 없이 윈도우 디펜더가 비활성화된다.

lol.exe는 lolMiner라고 하는 코인 마이너 악성코드로서 이더리움 코인에 대한 마이닝을 지원하며 ‘runtime broker.exe’라는 이름으로 설치된다. svchost.exe는 이렇게 설치된 lolMiner에 인자를 주고 실행시켜 실제 마이닝을 수행하게 하는 악성코드이다. 다음은 svchost.exe가 마이닝 풀 주소 및 공격자의 계정 정보를 주고 lolMiner를 실행시키는 루틴이다.

공격자는 게임 핵을 공유하는 디스코드 서버에서 마이닝 악성코드를 게임 핵으로 위장하여 유포하고 있으며, 이렇게 유포되는 악성코드는 사용자의 시스템에 마이너 악성코드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관련 안랩 ASEC 분석팀은 ”사용자들은 이러한 불법 프로그램들을 알려지지 않은 출처에서 설치하는 행위를 자제해야 한다”며, ”또한, V3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여 악성코드 감염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신경써야 한다”고 당부했다.
[원병철 기자(boanone@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헤드라인 뉴스

TOP 뉴스

이전 스크랩하기


과월호 eBook List 정기구독 신청하기

    • 지인테크

    • 인콘

    • 엔텍디바이스코리아

    • 핀텔

    • KCL

    • 아이디스

    • 씨프로

    • 웹게이트

    • 엔토스정보통신

    • 하이크비전

    • 한화비전

    • ZKTeco

    • 비엔에스테크

    • 지오멕스소프트

    • 원우이엔지

    • 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 TVT코리아

    • 이화트론

    • 다누시스

    • 테크스피어

    • 홍석

    • 슈프리마

    • 인텔리빅스

    • 시큐인포

    • 미래정보기술(주)

    • 유니뷰

    • 비전정보통신

    • 아이원코리아

    • 인터엠

    • 위트콘

    • 성현시스템

    • 한국씨텍

    • 투윈스컴

    • 스피어AX

    • 다후아테크놀로지코리아

    • 한결피아이에프

    • 경인씨엔에스

    • 디비시스

    • 트루엔

    • 세연테크

    • 프로브디지털

    • 동양유니텍

    • 포엠아이텍

    • 넥스트림

    • 핀텔

    • 위즈코리아

    • 삼오씨엔에스

    • 벨로크

    • 피앤피시큐어

    • 신우테크
      팬틸드 / 하우징

    • 에프에스네트워크

    • 네이즈

    • 케이제이테크

    • 셀링스시스템

    • (주)일산정밀

    • 아이엔아이

    • 새눈

    • 미래시그널

    • 인빅

    • 유투에스알

    • 에이티앤넷

    • 케비스전자

    • 한국아이티에스

    • 엣지디엑스

    • 네티마시스템

    • 에이앤티글로벌

    • 이엘피케이뉴

    • 와이즈콘

    • 현대틸스
      팬틸트 / 카메라

    • 제네텍

    • 구네보코리아주식회사

    • 창성에이스산업

    • 에이앤티코리아

    • 지에스티엔지니어링
      게이트 / 스피드게이트

    • 티에스아이솔루션

    • 엔에스티정보통신

    • 엔시드

    • 포커스에이아이

    • 넥스텝

    • 엘림광통신

    • 메트로게이트
      시큐리티 게이트

    • 레이어스

    • 주식회사 에스카

    • 엠스톤

    • 글로넥스

    • 유진시스템코리아

    • 카티스

    • 세환엠에스(주)

Copyright thebn Co., Ltd. All Rights Reserved.

MENU

회원가입

Passwordless 설정

PC버전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