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5-5208, CVE-2016-3105
.jpg)
[보안뉴스 문가용] 현지 시각으로 5월 9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대략 9일에서 10일로 넘어오는 밤 사이에 미국의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을 통해 발표된 취약점들이다.
1. CVE-2016-4476
hostapd 0.6.7~2.5 버전과 wpa_supplicant 0.6.7~2.5 버전에 있는 취약점으로 패스프레이즈(passphrase) 매개변수에서 과 이란 문자들을 거부하지 않는다. 이로써 원격의 공격자들이 DoS 공격을 할 수 있게 된다.
2. CVE-2016-4477
wpa_supplicant 0.4.0~2.5 버전에 있는 취약점으로 패스프레이즈 매개변수에서 과 이란 문자들을 거부하지 않는다. 이로써 로컬의 사용자들이 임의의 라이브러리 로딩을 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권한 취득 및 DoS 공격을 할 수 있게 된다.
3. CVE-2015-5207
Apache Cordova iOS 4.0.0 이전 버전에 있는 취약점으로 공격자들이 URL 화이트리스트 보호 장치를 우회할 수 있게 해준다. 이로써 임의의 리소스를 로딩할 수 있게 된다.
4. CVE-2015-5208
Apache Cordova iOS 4.0.0 이전 버전에 있는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들이 임의의 플러그인을 실행할 수 있게 해준다.
5. CVE-2016-3105
Mercurial 3.8 이전 버전의 convertn extention에 있는 취약점으로 공격자가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해준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국내 최대 규모의 개인정보보호 컨퍼런스 PIS FAIR 2016 - 6월 9일(목)~10일(금) 개최- 공공·금융·민간 CPO, 개인정보처리자, 보안담당자 등 4,000여명 참석
- 공무원상시학습, CPPG, CISSP, CISA, ISMS등 관련 교육이수(최대 16시간) 인정
- CPO, 개인정보처리자, 보안담당자 등 사전 무료 참관등록(www.pisfair.org/2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