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기상청은 2020년 국내에서 발생한 지진의 분석 결과를 수록한 ‘2020 지진연보’를 발간했다. 지진연보는 규모 2.0 이상 지진에 대한 △목록 △진앙분포도 △파형 △해남 연속지진 등의 분석 결과를 담고 있다.
2020년 한반도(인근 해역 포함)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은 총 68회로, 평균(1999~2019년)보다 낮은 발생 특성을 보였다. 이는 2019년(88회)에 비해 23% 줄어든 수치며 2016년 9.12지진 이후 처음으로 디지털 관측 기간(1999~2019년) 연평균(70.7회)보다 적은 것으로, 2016년 이후 점차 줄어들고 있다. 다수의 국민이 느낄 수 있는 규모 3.0 이상의 지진은 총 5회로, 2019년(14회) 및 연평균(11회)보다 적게 나타났다.
남한 지역별 발생 빈도는 경북에서 가장 높고, 전남이 다음이었다. 규모 2.0 이상 지진은 경북 지역 12회, 전남 지역 6회, 서울·경기·강원 등 나머지 지역에서는 1~2회 관측됐다. 규모 2.0 미만의 미소지진은 경북 지역 225회·전남 지역 105회로, 나머지 지역(최대 51회)에 비해 높은 편이다. 이는 경북 지역의 평균적으로 높은 발생 빈도 및 전남 해남의 연속지진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전남 해남지역에서 지진이 76회(규모 2.0 미만 포함) 연속해 발생했다. 2020년 4월 26일부터 6월 11일까지 47일간 전남 해남지역에서 규모 0.9에서 3.1 사이의 지진이 총 76회 발생했다.
기상청이 지진전문가와 합동으로 조사·분석한 결과, 연속지진은 약 500m의 좁은 범위·지하 20㎞의 깊은 층에 분포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한반도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지진의 특성이며, 특이한 현상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박광석 기상청장은 “지진에 안전지역은 없으며 항상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아직은 현대과학으로 지진 예측이 불가능하므로 국민의 안전을 위해 지진조기경보를 통해 신속하게 정보를 제공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지진연보’는 2001년부터 매해 발간했으며, 1978년부터 2000년까지의 지진 현황은 ‘지진관측보고(2001)’에 기록됐다. ‘지진연보’는 기상청 누리집(행정홈페이지→자료실→기상간행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