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김성미 기자] 일본에서 드론을 활용한 서비스 시장 규모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2015년 항공법을 개정한 이후 드론과 관련된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는 것. 일본의 드론 서비스 규모는 급격히 증가해 2015년 112억엔에서 2018년에는 462억엔으로 확대됐다. 2022년에는 1,406억엔 규모로 증가할 전망이다.
특히, 개정 항공법은 드론(Drone)을 명시하고 사용 허가의 기준과 절차를 정비함으로써, 매월 1,000건이 넘는 사용 신청이 접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에서는 드론 조종사라는 직업이 주목받고 있다.

[사진=iclickart]
일본에서 드론을 가장 활발하게 사용하는 분야는 농업이다.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농약 살포용 드론은 이미 약 3,000대 가량이 사용되고 있다. 헬기보다 훨씬 저렴하게 구입해 운용하고 유지할 수 있어 앞으로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에는 토지 측량과 건설 현장에서도 드론의 활용이 늘고 있다. 일본 국토교통성이 추진 중인 ‘i-콘스트럭션 계획’에 따라 건설 현장에서 드론 사용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i-콘스트럭션 계획은 정보통신기술(ICT)을 건설과 토목 현장에 도입해 건설 생산 시스템의 전반적인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사업이다.

드론 활용 느는 일본, 조종사 수요도 ↑
이처럼 드론 활용이 늘어남에 따라 조종사의 수요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드론조종사협회(DPA)는 2020년까지 14만명의 조종사가 필요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특히, 인프라 조사와 점검, 농업에서만 약 10만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보안과 항공촬영, 측량 분야에서도 3만~4만명까지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전망이다.
KOTRA 오사카무역관이 인재파견회사인 P사의 담당자에게 드론 조종사 수요 전망에 대해 문의한 결과, 이 담당자는 “구체적인 요청은 많지 않으나 앞으로 구인 수요가 증가할 분야 중에 하나”라고 답했다.
미국과 유럽에서 2010년 중반 드론 조종사의 공급이 부족해 문제를 겪은 적이 있는 만큼 일본에서도 최근 증가하고 있는 드론 조종사의 수요를 반영해 드론 조종사를 체계적으로 양성하는 기관이 설립되고 있다. 드론에 자동 조종기능이 도입되면서 드론 무인화에 대한 우려가 있으나, 무인화는 주로 화물 운송 등 단순 작업의 영역에 국한되고 있다.
아직 드론의 자율비행을 완전히 허용하고 있는 나라는 없다. 배상 책임 등의 문제로 앞으로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산업용 드론이 활용되는 영역인 건설 현장에서의 측량과 신재생 발전소(태양광 패널) 등 공공 인프라 점검, 농약 및 비료 살포, 영상 촬영 등은 무인화되기 어렵다. 특히, 산업용 드론은 사람의 판단으로 제어해야 안전이 보장되는 경우가 많아 앞으로도 무인화되기는 쉽지 않다. 최소 40~50kg 무게의 장비를 싣고 풍향과 풍속을 체크하면서 비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드론 조종사 연봉 및 업무 난이도, 경력과 직종에 따라 차이 커
드론 조종사 연봉은 경력 및 직종에 따라 차이가 크다. 일본 급여뱅크에 따르면, 드론 조종사의 급여는 월평균 28만엔 정도로 일본 평균수준보다는 약간 낮은 편이다. 하지만 경력이나 능력에 따라 차이가 커서, 유명 조종사는 1회 비행으로 50만엔의 수입을 얻는 경우도 있다.
업무별로도 연봉 차이가 있다. 항공 촬영이나 측량 업무와 같이 숙련된 조종사가 필요하고 조종사별 역량 차이가 큰 부분은 평균 연봉이 높다. 상대적으로 단순 업무인 보안 드론 조종은 연봉이 가장 낮다.
일반적으로 베테랑 드론 조종사가 되기 위해서는 최소 50~100시간 이상의 비행 경험이 필요하다. 현재 일본 내에서 베테랑 드론 조종사의 숫자는 약 100명 정도로 알려져 있다. 베테랑 드론 조종사가 되려면 각종 규정에 대한 숙지는 물론 능숙한 조종감각이 필수다. 일본은 항공법 등 드론 관련 규정이 많아 드론 조종사는 관련 규정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드론을 조종하기 위한 공간 감각과 세밀한 조종력 등 조종사로서의 기본적인 능력도 필수로 요구된다.
일본 드론 조종사 분야에 한국 청년 진출 가능성 보여
일본 드론 조종사는 지속적인 충원이 예상돼 취업 전망도 밝다. 태양광·풍력 발전소 등 지속적인 정비가 필요한 시설들이나 사람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고층빌딩, 교량 등의 측량, 조사 업무는 앞으로 드론이 담당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아직 활용 초기 단계인 만큼 소수의 베테랑 조종사 외에 경력이 적은 조종사의 급여는 낮은 편이다. 관련 기업들도 스타트업이나 소기업이 많다.
이에 오사카무역관은 일본 드론 조종사 취업 희망자라면 드론 조종과 관련된 체계적인 교육을 받는 것이 좋다고 추천했다. 드론 활용 업무 경력이나 자격이 있으면 유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본은 아직까지 드론 조종에 관련된 자격이나 면허는 별도로 없으나, 항공법 등 여러 가지 제한 규정이 많고 국토교통성에 드론 조종 허가를 신청할 경우 ‘비행실적 증명서(10시간)’ 등을 제출해야 하므로 민간단체의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이 유리하다.
대표적인 관련 민간단체는 JUIDA(일반사단법인 일본무인항공기산업진행협의회), DPA(일반사단법인 드론조종사협회)가 있다. 교육비는 대략 30만엔이 든다. 최근에는 많은 드론 스쿨이 생겨나고 있는 추세다.
중국계 드론 제조사인 DJI 재팬에서 실시하는 캠프를 이수하는 경우도 있다. 추가로 전문성을 키우고 싶다면 ‘일본 아마추어 무선 4급’, ‘일본 제3육상특수무선기술사’ 등의 자격증을 갖추는 것도 좋다. 일본 내에서 드론 활용 수요가 높은 부분이 측량 및 건축물 점검 관련 분야이므로 해당 분야의 경력이나 자격이 있으면 일본에서 업무를 수행할 때 좀 더 수월하다.
[김성미 기자(sw@infothe.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