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김성미 기자] 중국 드론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어 우리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 북경지부는 ‘비행하는 중국의 드론 산업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의 골자는 과거 군사용에서 시작한 드론은 최근 레저용 소비재로서 잠재력이 급상승하고 있다는 것이다.
.jpg)
▲ 중국 민간용 드론 시장 성장추이[자료=즈앤컨설팅]
최근 들어 중국의 민간 드론시장이 매년 50%씩 급성장하고 있다. 올해 시장 규모는 54억 위안(한화 8,830억원), 2018년에는 81억 위안(한화 1조 3,200억원)으로 가파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중국은 민간 드론 생산에서도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세계시장을 장악해 온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저비용 양산체제 구축, 시장 수요에 맞는 제품 출시 및 성공, 기업별 제품 전문화, 개방형 시스템 등이 갖춰지는 등 발전적인 산업군이 형성되고 관련 기업도 증가하고 있다.
중국 드론 산업의 발전은 ‘대중 창업, 만중 혁신’을 강조하며 창업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는 중국 정부의 성공사례로 손꼽힌다. 중국의 대표적인 드론 기업인 DJI, 지페이(XAIRCRAFT) 등은 1980년대생 청년이 창업한 스타트업 기업이다. 이 가운데 전 세계 소비용 시장의 70% 이상을 공급하는 DJI는 미국 벤처캐피탈 리서치기관 CB인사이츠(CB Insights)가 발표한 세계 186개 유니콘 기업 중 14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유니콘 기업이란 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의 스타트업을 가리키는 말이다.
심윤섭 한국무역협회 북경지부 차장은 “중국 청년들의 뜨거운 창업 열기와 벤처캐피탈 등의 자금원을 기반으로 민간용 드론 같은 새로운 첨단 분야에서 중국 기업들이 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며 “우리도 미래 신산업, 첨단 소비재 등에 보다 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와 더불어 창업이 활발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창업 친화적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중국 드론산업 성장의 비결
중국의 민간 드론시장은 2016년 기준 36억 위안으로 추정된다. 올해는 54억 위안으로 확대되며 시장 규모가 50% 성장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 시장의 맹주는 DJI다. DJI는 경쟁사보다 가격이 절반에서 최대 1/5로 낮으면서도 조작이 간편한 제품을 개발해 드론을 대중화시켰다. 미국의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2016년 3/4분기 출하량 기준 시장의 51.99%를 점유하고 있다. 다음은 베이징에 소재한 제로텍(零度智控) 24.3%, 프랑스계 패럿(Parrot) 4.63%의 순이다.
중국이 민간 드론산업은 개인 촬영용과 경찰용, 농업용 등 특정 시장에 전문화된 업체들이 각각 성장하면서 개별 경쟁력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세분된 드론 연구로 전문성도 확보했다. 기초 연구는 베이징과 난징 등 기타 내륙지역 항공대학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는 선전을 중심으로 한 주강 삼각구 지역과 베이징에서, 테스트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나 허난성 등의 광대한 농지에서 이뤄졌다.
中 대표 드론 기업 DJI와 AEE
DJI는 세계 소비용 드론시장에서 1위를 달리는 기업이다. 2006년 설립된 이 회사는 처음에 5~6명의 종업원으로 시작한 작은 회사였으나 현재는 6,000여명의 종업원을 두고 세계 100여개국에 제품을 공급한다. 본사는 중국 선전에 있지만 매출의 80%는 해외에서 발생한다. 우리나라에도 사무소를 두고 있다. DJI는 군사·정찰용보다는 민간용 드론의 세계화를 우선시하는 전략을 폈다. 그 결과 올해 3월 기준 세계 186개 유니콘 기업 중 14위를 차지할 수 있었다. 주요 제품은 소비용 촬영 드론 팬텀(Phantom) 시리즈와 영화 촬영용 드론 인스파이어(Inspire) 등이다. 팬텀은 2013년 처음 개발했다. 단가는 1,000달러 수준이다. 2014년 개발한 팬텀2 비전 플러스 모델은 미국 타임지가 선정한 2014년의 10대 과학기술제품 중 3위에 선정됐다. 1위는 애플의 스마트워치였다.
또 다른 중국계 드론기업 AEE(一電科技)는 경찰용 드론으로 중국 1위를 점하고 있다. 종업원 수는 1,500여명으로 이중 650명이 연구 인력이다. 이 회사는 중국에서 유일하게 중국군 군수장비 총괄부서인 총장비부(2016년 장비발전부로 개명)와 공안부의 무인기 시스템 표준 작성에 참여한 기업이다.
주력 모델인 경찰용 드론은 공중 영역을 설정해 자동 항행·순찰하고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여러 개의 대상을 파악할 수 있다. 조명과 확성기, 통신 모듈을 탑재할 수 있고 비행하면서도 유선 충전이 가능해 장시간 비행할 수 있다. AEE 경비용으로 필요한 조건을 패키지화한 제품을 미국, 프랑스 등에 납품하고 있다.
이밖에도 2014년 광저우에 설립된 이항(亿航智能技术公司)은 1인 탑승 드론을 실용화해 올해 7월부터 두바이에서 드론 택시로 시범 운용키로 했다. 역시 광저우에 소재한 지페이는 2007년 설립된 기업으로 농업 특화용 드론으로 시장 개척에 나서고 있다.
[김성미 기자(sw@infothe.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