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가 추진하는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기반 구축 사업에 인증받은 표준 통합플랫폼이 공급됨으로써 지자체의 정보시스템 운영 환경, 인근 지자체 간 시스템 연계 및 호환성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은 지자체 스마트시티 센터에서 방범·방재, 교통, 시설물 관리 등 분야별 정보시스템을 연계·활용하기 위한 기반 소프트웨어(S/W)다.
[이미지=iclickart]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는 지난해 10월 통합플랫폼 관련 표준을 마련한 데 이어, 지난 3일 7개사 제품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인증을 받음에 따라 스마트시티 조성 및 확산을 위해 표준 통합플랫폼의 지자체 보급을 본격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에 인증을 받은 7개 통합플랫폼은 기본 기능, 연계 서비스 상호 연동 기능 및 통합 기능 등 총 40개의 시험 항목을 모두 통과했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제품이 고루 포함됐다.
이제까지는 정부 연구개발(R&D)로 개발한 통합플랫폼만 지자체 통합플랫폼 사업에 활용했으나, 향후 인증받은 민간 기업의 통합플랫폼도 이 사업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지자체의 방범·방재·교통 등 분야별 정보시스템을 기반 소프트웨어인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으로 연계·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지자체당 6억원 지원)한다.
그간 민간 업계에서는 소프트웨어(S/W) 시장 활성화, 지자체의 스마트시티 사업 참여 등을 위해 통합플랫폼에 필요한 표준과 인터페이스 사양을 마련해 줄 것을 요청해 왔다.
정부는 지난해 표준 제정에 이어 이번 인증 체계 마련으로 민간 솔루션 기업의 참여가 활성화돼 경쟁을 통해 우수 소프트웨어(S/W)가 개발되는 등 스마트시티 소프트웨어(S/W)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 2007년 정부가 범정부 과제로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의 국산 기술 개발에 나선 이후, 2013년 정부 연구개발로 국산 통합플랫폼을 개발한 데 이어 마침내 민간기업의 상용화 제품이 나옴에 따라 국내 스마트시티 기술의 우수성 입증과 함께 해외 시장 진출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시티는 연결성을 바탕으로 교통, 환경, 에너지, 수자원 등 각종 도시 기반시설에 5세대 이동통신(5G),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접목된 도시로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이 그 중심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통합플랫폼 인증은 상시 인증 제도로 운용 중이며, 인증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시험인증 신청서·구현 명세서(시험인증 대상의 구현 기능 및 정보를 선언하기 위한 문서)·자체 검증 확인서를 작성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에 제출하면 된다.
국토부 이성해 도시정책관은 “스마트시티의 안정적인 구축과 확산을 위해 공통 기술, 인터페이스, 서비스의 표준화를 통한 상호 연동성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번 인증을 계기로 각종 정보시스템의 연계·운영을 촉진하고 국내 소프트웨어 산업이 활성화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