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6-6262, CVE-2016-6263
.jpg)
[보안뉴스 문가용] 현지 시각으로 9월 7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대략 7일에서 8일로 넘어오는 밤 사이에 미국의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을 통해 발표된 취약점들이다.
1. CVE-2016-5404
FreeIPA의 cert_revoke 명령의 취약점으로 “revoke certificate” 허가를 확인하지 않는다. 원격에서 승인된 사용자가 “retrieve certificate” 허용을 사용해 임의의 인증서를 폐지할 수 있다.
2. CVE-2016-6179
H60-L01 Huawei Honor6 스마트폰의
software H60-L01C00B850 이전의 H60-L01 버전, H60-L11C00B850 이전의 H60-L11 버전, H60-L21C00B850 이전의 H60-L21 버전, H60-L02C00B850 이전의 H60-L02 버전, H60-L12C00B850 이전의 H60-L12 버전, H60-L03C01B850 이전의 H60-L03 버전이 설치된 Huawei Honor6 스마트폰의 와이파이 기능의 취약점으로 공격자가 DoS 공격을 할 수 있게 해준다.
3. CVE-2016-6261
libidn 1.33 이전 버전의 lib/idna.c의 idna_to_ascii_4i 함수에 있는 취약점으로 공격자가 DoS 공격을 할 수 있게 해준다.
4. CVE-2016-6262
libidn 1.33 이전 버전의 idn에 있는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0 바이트 인풋을 읽어서 out-of-bound를 활성화시킨 다음 민감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해준다. CVE-2015-8949과는 다름 취약점이다.
5. CVE-2016-6263
libidn 1.33 이전 버전의 lib/nfkc.c의 stringprep_utf8_nfkc_normalize 함수에 있는 취약점으로 공격자가 DoS 공격을 할 수 있게 해준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