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6-5308, CVE-2016-5781
[보안뉴스 문가용] 현지 시각으로 7월 11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대략 11일에서 12일로 넘어오는 밤 사이에 미국의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을 통해 발표된 취약점들이다.
.jpg)
1. CVE-2016-4503
Moxa Device Server Web Console 5232-N의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들이 인증 과정을 우회할 수 있게 해준다. 이로써 환경설정 및 데이터의 임의 수정이 가능해진다. UserID 값을 포함한 쿠키 매개변수와 관련이 있다.
2. CVE-2016-4533
WECON LeviStudio의 힙 관련 버퍼 오버플로우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해준다.
3. CVE-2016-4831
윈도우용 Line과 Line Installer 4.7.0 및 이전 버전의 신뢰하기 힘든 검색 경로 취약점으로 로컬 사용자가 트로이목마 DLL 파일을 통해 권한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4. CVE-2016-5308
Norton Security의 시만텍 Endpoint Protection(SEP) 15.1.2 이전 버전의 Client Intrusion Detection System(CIDS) 드라이버 15.0.6 이전 버전의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Portable Executable 파일을 통해 DoS 공격을 할 수 있게 해준다.
5. CVE-2016-5781
WECON LeviStudio의 스택 관련 버퍼 오버플로우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해준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