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5-8392, CVE-2015-8391
[보안뉴스 문가용] 현지 시각으로 11월 27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대략 27일에서 30일로 넘어오는 밤 사이에 미국의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을 통해 발표된 취약점들입니다.

1. CVE-2015-8395
8.38 이하 버전의 PCRE에서 특정 특성들이 오류를 일으켰는데, 이를 악용하면 원격에서 DoS 공격이 가능하다. CVE-2015-8384, CVE-2015-8392와 관계가 있는 취약점이다.
2. CVE-2015-8394
8.38 이하 버전의 PCRE에 있는 (?(
3. CVE-2015-8393
8.38 이하 버전의 PCRE pcregrep에 있는 -q 옵션 오류를 악용하면 원격에서 가짜로 만든 악성 파일을 삽입해 민감한 정보를 추출하는 게 가능해진다.
4. CVE-2015-8392
8.38 이하 버전의 PCRE에서 (?| 서브스트링의 몇몇 인스턴스가 오류를 일으켰는데, 이를 악용할 경우 원격에서 버퍼 오버플로우 등을 통한 DoS 공격이 가능해진다. CVE-2015-8384, CVE-2015-8395와 관련이 있는 취약점이다.
5. CVE-2015-8391
8.38 이하 버전의 PCRE pcre_compile.c에 있는 pcre_compile 함수가 [: 네스팅에서 오류를 일으키는데, 이를 악용하면 원격에서 DoS 공격을 감행하는 게 가능하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