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5-8364, CVE-2015-8363
[보안뉴스 주소형] 현지 시각으로 11월 25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대략 25일에서 26일로 넘어오는 밤 사이에 미국의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을 통해 발표된 취약점들입니다.

1. CVE-2015-6382
소프트웨어 16.0(900) 버전이 탑재된 Cisco ASR 5000 기기에서 발견된 취약점으로 공격자가 원격에서 TELNET 연결을 통해 서비스 거부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Bug ID CSCuv25815와 동일합니다.
2. CVE-2015-6857
HP LoadRunner 11.52, 12.00, 12.01, 12.02, 12.50 이전 버전의 VTS에서 발견된 명시되지 않은 취약점으로 공격자가 원격에서 알려지지 않은 벡터를 통해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3. CVE-2015-8365
FFmpeg 2.6.5, 2.7.x, 2.7.3 이전 버전, 2.8.x-2.8.2 버전의 smka_decode_frame 기능에서 발견된 취약점으로 공격자가 원격에서 조작된 Smacker 데이터를 통해 서비스 거부나 명시되지 않은 다른 충격을 가할 수 있습니다.
4. CVE-2015-8364
FFmpeg 2.6.5, 2.7.x, 2.7.3 이전 버전, 2.8.x-2.8.2 버전의 ff_ivi_init_planes 기능에서 발견된 정수 오버플로우 취약점으로 공격자가 원격에서 Indeo Video Interactive 데이터 안의 조작된 이미지 치수를 통해 서비스 거부나 명시되지 않은 충격을 가할 수 있습니다.
5. CVE-2015-8363
FFmpeg 2.6.5, 2.7.x, 2.7.3 이전 버전, 2.8.x-2.8.2 버전의 jpeg2000_read_main_headers 기능에서 발견된 취약점으로 공격자가 원격에서 조작된 이미지를 통해 서비스 거부나 명시되지 않은 충격을 가할 수 있습니다.
[국제부 주소형 기자(sochu@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