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생활 침해·기밀 유출·기반시설 마비 우려 등 날로 커지는 불법 드론 위협
[보안뉴스 조재호 기자] 공항과 항만 등 국가 주요 시설을 노리는 불법 드론 위협이 잇따르는 가운데, 에스원이 인공지능(AI) 기술 기반의 안티드론 솔루션을 내놨다. 관제사 개입 없이도 빠르고 정확한 초기 대응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자료: 에스원]
에스원의 안티드론 솔루션은 △‘RF 스캐너·레이더’를 활용한 불법 침입 감지와 실시간 추적 △‘드론 탐지 AI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한 비행 패턴·형체 분석 △‘주파수 간섭 기술’을 활용한 불법 드론의 실시간 무력화 조치 등을 제공한다.
‘RF 스캐너·레이더’는 인력 기반 감시 체계의 실시간 모니터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마련된 감시 체계다. 기존 레이더만으로 비행체를 탐지해 정확도가 떨어졌는데, 에스원은 드론과 조종기 간 통신 신호를 포착하는 RF 스캐너를 추가해 탐지 성능을 강화했다. RF 스캐너가 통신 신호로 드론 침입을 감지하면 레이더가 위치·속도·방향을 실시간으로 추적해 관제사의 개입 없이도 빠르고 정확한 초기 대응을 지원한다.
‘드론 탐지 AI 영상 분석 기술’은 EO/IR 카메라와 AI 드론 탐지 알고리즘을 결합한 탐지 기술이다. EO(Electro-Optical) 카메라는 고배율 광학 줌으로 수 Km 떨어진 소형드론까지 선명하게 포착하고, IR(Infrared) 카메라는 모터의 열을 감지해 야간이나 악천후 같은 상황에서도 드론 추적이 가능하다. 또, AI 알고리즘이 비행 패턴과 형체를 분석해 비행기나 조류를 실제 드론 과 자동으로 구분한다.
‘주파수 감지 기술’은 불법 드론 실시간 무력화 기술로 드론과 조종기 사이의 통신을 교란해 출발지로 되돌리거나 안전한 지점에 강제 착륙시킨다. 현장 출동 없이 원격으로 드론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기존 대응 체계에서 드론을 발견하더라도 즉각 제압할 수단이 없어 불법 드론이 촬영이나 정찰을 마치고 대응 인력이 도착하기 전에 현장을 이탈하는 사례를 방지하기 위한 방식이다.
에스원은 40여년간 사회 안전 인프라를 비롯해 국가 주요 시설의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면서 축적한 현장 노하우를 기반으로, 각 시설의 특성을 정확히 반영한 맞춤형 안티드론 솔루션을 설계해 지원할 방침이다.
에스원 관계자는 “불법 드론이 공항과 항만, 원전 등을 위협하면 사회 주요 기반시설과 공공 서비스 전체가 마비되는 등 심각한 보안 위협이 될 수 있다”며 “민간·공공 영역의 물리보안과 시설 관리를 책임져온 노하우에 AI 등 첨단 기술을 집약한 솔루션을 더해 우리 사회 전반의 안전을 지켜나가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조재호 기자(sw@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