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는 23일 대전시와 KAIST 본원에서 개방형 양자팹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업무 협약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지난해 5월 KAIST가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지원하는 ‘개방형 양자공정 인프라 구축 사업’ 주관기관으로 최종 선정된 후, 대전시와 함께 양자팹 건립을 본격화하기 위한 후속 조치다.

▲KAIST와 대전시는 23일 개방형 양자팹 구축을 위한 업무 협약식을 가졌다. [자료: KAIST]
KAIST 개방형 양자팹은 국내 최대 규모 양자 소자 전용 개방형 클린룸 팹 시설이다. KAIST 본원 미래융합소자동 인근 부지에 건축면적 977㎡, 연면적 2498㎡, 지하 1층~지상 3층 규모로 건립된다.
2031년까지 국비 234억 원, 대전시비 200억 원, KAIST 자체 예산 16.2억 원 등 총 450억 원 이상이 투입된다.
현재 초전도, 광자, 중성원자, 이온트랩, 반도체 스핀 등 다양한 큐비트 플랫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양자소자를 직접 제작·평가할 수 있는 공정 인프라는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기존 반도체 팹은 양자소자 요구 특성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양자 전용 공정 시설 확보가 시급하다.
KAIST는 이번 사업을 통해 연구자와 기업이 함께 활용할 수 있는 개방형 양자공정 환경을 구축한다. 양자소자 설계–제작–분석–평가가 한곳에서 이루어지는 국내 양자연구 허브를 조성할 계획이다.
KAIST와 대전시는 △양자팹 구축 및 장비 설치 △시설 유지·보수 및 운영 △양자 인재 양성 △양자 산업 지원 및 프로그램 발굴 △양자클러스터 조성·확산 등 지역 기반 양자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협력한다.
양자팹에는 패터닝, 건식·습식 식각, 증착, 패키징, 분석 등 양자소자 제작에 필요한 필수 공정 장비 35대 이상이 단계적으로 구축된다. 신규 장비 13대가 도입되며, 기존 장비 22대 이상이 이전·활용된다.
KAIST는 본원 미래융합소자동에 보유한 클린룸과 기존 장비를 연계해 7월 24시간 개방형 시범 운영을 시작했다. 2027년 완공될 신축 양자팹 연구동에 신규 공정 장비들을 설치하고 2028년 본격 운영할 계획이다.
연구자와 기업은 개방형 홈페이지(nqfab.kr)에서 예약 후 무료 교육을 받고 장비를 활용할 수 있다. 공정 품질 관리, 전문가 교육, 국제 협력 프로그램 등 다양한 공정·인력 양성 지원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개방형 양자팹이 대전을 양자산업 중심으로 이끄는 발판이 될 것”이라며 “KAIST와 협력해 지역 산학연이 함께 성장하고, 양자 기술로 미래 산업과 지역 경제를 이끌겠다”고 말했다.
조용훈 국가양자팹연구소장은 “개방형 양자팹은 국내 양자 연구 생태계의 실질적 기반”이라며 “사용자 중심 공정 지원 체계를 통해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양자소자 연구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양자과학기술은 미래 기술 패권을 좌우할 핵심 전략 분야”라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산학연관이 협력해 대한민국 양자 생태계의 경쟁력 기반을 확립하겠다”고 밝혔다.
KAIST는 이번 업무협약을 기반으로 자립 운영이 가능한 선순환 시스템을 구축하고, 전문 인재 양성과 플랫폼별 공정 기술 개발로 국가 전략기술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한세희 기자(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