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등급 시스템 75%, 2등급 시스템은 51.5% 복구돼 운영...핵심 시스템은 전날과 동일
[보안뉴스 조재호 기자]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중단된 정부 전산시스템 복구 작업이 3주차에 진입했지만, 복구율은 30%대에 머물고 있다. 정부는 다수 시스템이 화재가 난 7전산실 장비를 활용해 즉시 복구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이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정자원 화재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자료: 연합]
정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13일 브리핑에서 전체 709개 시스템 중 오후 3시 기준 264개(37.2%)가 복구됐다고 밝혔다. 이날 추가 복구된 시스템은 △문화체육관광부 시군구행정·내부 업무포털 지원·코리아넷 집배신 시스템 △고용노동부 배우리시스템 등이다.
1등급 시스템 40개 중 30개(75%)와 2등급 시스템 68개 중 35개(51.5%), 3등급 261개 중 115개(44.1%), 4등급 340개 중 84개(24.7%)가 복구됐다. 핵심 시스템인 1·2등급 시스템 복구율은 전날과 동일하다.
1등급 시스템 중 국가보훈부 통합보훈과 국민권익위원회 국민신문고,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등 3개와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포털과 문서24,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등 7개 서비스가 복구되지 않았다.
이재용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은 “1~6전산실에 위치한 시스템 중 5층 화재와 무관한 시스템은 5일까지 복구 완료했으며, 5층 7, 7-1, 8전산실 연계 시스템이 남아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주말 동안 기존 700여명의 복구 인력 외에 제조사 복구 인원 80여명을 추가 투입해 복구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대전 본원은 2층부터 5층까지 총 9개 전산실로 구성됐으며, 이중 5층에 7, 7-1, 8 전산실이 있다. 화재는 7-1 전산실에서 발생했는데, 인접한 7, 8전산실도 분진과 연기 피해 등을 입었다. 다수 시스템이 7전산실 장비를 활용하고 있어 즉시 복구가 어려운 상황이다.
정부는 화재 피해를 직접적으로 입은 7, 7-1전산실의 시스템은 장비 수급 상황 등을 고려해 대구센터로 이전하거나 대전센터 내의 타 전산실로 이전할 계획이다. 협의 과정에 따라 변동 가능성이 있으나, 대구 센터로 이전할 대상 시스템 20개를 선정했고, 일부 시스템은 민간 클라우드사와 소관부처와 협의를 완료해 이전을 시작했다.
대구센터로 이전하지 않는 시스템은 대전센터 내 다른 전산실 이전을 위한 작업을 진행 중으로 신규 장비 설치를 완료하고 서비스별로 순차적으로 이전할 계획이다.
한편,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추후 복원되지 않는 부분이 있을 수 있느냐는 질의에 “복원이 되지 않는 부분도 있을 수 있지만, 이 부분이 중요하다고 보긴 어렵다”고 답했다.
[조재호 기자(sw@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