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계통영향평가 신속 처리 방침, 입지는 비수도권으로 민간 제시
[보안뉴스 박은주 기자] 정부가 최대 2조5000억을 투자해 국가 AI컴퓨팅 센터를 구축한다.
![](https://www.boannews.com/media/upFiles2/2025/02/567056623_7369.jpg)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설명회 현장[자료: 과기정통부]
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최대 2조5000억원이 투자되는 ‘국가 AI 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설명회를 열어 추진 일정과 전력계통영향평가 신청 방법 등을 안내했다.
정부는 우리나라를 미국과 중국에 이은 인공지능 3대 강국(AI G3) 반열에 올려놓겠다는 계획중 일부로 국가 AI 컴퓨팅 센터 구축을 추진 중이다.
이날 설명회에는 국내외 빅테크 및 투자사, 플랫폼 기업,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 등 관계자가 몰려 당초 계획한 300석 규모 좌석을 늘리는 등 뜨거운 관심 속에 진행됐다.
비수도권 입지에 들어설 국가 AI 컴퓨팅 센터는 공공과 민간이 각각 51%, 49% 비율로 총 4000억을 출자한 민관합동 특수목적법인(SPC)이 구축을 맡는다.
산업은행, 기업은행이 SPC 지분의 최대 30%(각 15% 이내)를 출자하고, 2027년까지 투자금 2조∼2조5000억을 정책 금융을 통한 저리로 빌려준다.
국가 AI 컴퓨팅 센터 그래픽처리장치(GPU) 규모는 1엑사플롭스(EF·1초에 100경 번의 부동소수점 연산 처리 능력)를 목표로 한다. SPC에 참여하는 민간 기업의 추가 투자를 합치면 2엑사플롭스 규모가 될 것으로 정부는 예상한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관련 규제 개선과 연구개발, 인재 양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AI컴퓨팅발전전략을 1분기 내 수립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사업 공모에 신청하는 민간 참여자는 오는 28일까지 사업 참여의향서를 제출해야 한다.
정부는 등 올해 말 서비스 조기 개시, 2027년 개소를 목표로 국가 AI 컴퓨팅 센터 구축에 행정적, 정책적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박은주 기자(boan5@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