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공급망 위기에 선제 대응 위해 주요 전략기술 분야의 핵심 동력원 첨단소재 투자 확대
[보안뉴스 김영명 기자] 글로벌 공급망 대응력 확보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첨단소재 R&D 발전전략’을 중점적으로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 이를 통해 크게 세 가지 중점 추진사항을 공표했다. 첫 번째는 글로벌 공급망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①100대 첨단소재(5년 내외) ②100대 미래소재(10년 이상)로 구분하는 Two-Track R&D 체계로 강화한다. 두 번째는 첨단소재 원천기술 성과가 다양한 분야로 활용·확산될 수 있도록 ‘첨단소재 기술 성장지원 체계’도 새롭게 구축할 계획이다. 세 번째는 첨단 연구를 위한 소재 기술혁신 생태계도 조성해 나간다.
▲첨단소재 R&D 발전전략 요약[자료=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12월 19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주재 제51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첨단소재 R&D 발전전략’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략은 글로벌 공급망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핵심이 되는 첨단소재 기술의 조기 선점을 추진하고자 마련됐다. 최근 조사 결과에 따르면, 첨단소재의 기술 수준이 미국, 일본에 이어, 중국도 우리를 추월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첨단소재의 기술력 저하는 장기적으로 우리나라 핵심 공급망의 위협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는 만큼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에 선제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한 때다.
‘첨단소재 R&D 발전전략’의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추진사항에서 100대 첨단소재와 100대 미래소재 등 투트랙 R&D 체계와 관련해 특정 국가에 높은 대외 의존도 등으로 공급망 리스크가 높은 ‘100대 첨단소재’를 발굴하고 향후 5년 내외로 조속한 원천기술을 확보해 사업화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높여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10년 이상의 중장기 미래의 기술혁신에도 선제적으로 대비해 국가전략기술 분야 중심으로 ‘100대 미래소재’에 대한 R&D를 차질없이 지원해 향후 10년 이후의 초격차 원천기술 확보도 병행해 나간다.
▲향후 5년 내외 100대 첨단소재[자료=과기정통부]
두 번째 추진사항인 ‘첨단소재 기술 성장지원 체계’ 구축과 관련해서는 출연연구소를 중심으로 ‘소재 분야 연구자’, ‘수요․공급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가칭)첨단소재 기술 성장 협의체’를 구성해 우리나라 소재 원천기술의 현안 대응력을 높인다. 또한 첨단소재 원천기술의 성장을 저해하는 기술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원천기술 매칭·고도화, 스케일업 기술난제 해결 등을 지원하는 ‘첨단소재 원천기술 성장 R&D 프로그램’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특히 원천기술의 사업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 기획 단계에서 기업의 참여를 높이고, 연구개발 단계에서는 지재권 확보 지원, 부처간 이어달리기 협력사업 등 소재 연구의 R&D 프로세스도 개선해 나간다.
세 번째 추진사항인 기술혁신 생태계 조성과 관련해서는 새롭게 부상한 AI 활용 연구를 소재 연구에 도입하기 위한 ‘소재 연구 AI·데이터 생태계 플랫폼’의 기능을 △초고속 컴퓨팅 자원 △고품질 데이터(총 300만건) △소재 특화 AI 모델(20개 이상) 등으로 보다 확대한다. 또한 소재 전문가, AI 전문가 등이 공동으로 연구하는 소재 연구 HUB 사업을 지속 추진한다.
▲향후 10년 내외 100대 미래소재[자료=과기정통부]
이외에도 디지털 연구 방법론에 특화된 소재 연구 인력양성은 물론, 기업 현장의 신진 연구인력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젊은 과학자가 글로벌 연구자와 협력하는 기회도 확대하는 사업(글로벌 영커넥트)을 추진한다.
유상임 장관은 “과학기술을 둘러싼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첨단소재 분야는 반도체, 이차전지 등 주요 전략기술분야의 기술력을 좌우하는 핵심 동력원”이라며 “이번 전략을 토대로 과학기술 관점에서 글로벌 공급망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현재와 미래를 고려한 소재 원천기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영명 기자(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