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박은주 기자] 인공지능·디지털 문서 토털 솔루션 분야 전문 기업인 사이냅소프트(대표 전경헌)는 생성형 AI(인공지능) 기반 대규모 AI 엔진 ‘사이냅 DU(Document Understanding, 문서이해기술)’를 탑재한 디지털 문서솔루션을 상반기 내 다수 출시할 계획이라고 4일 밝혔다.

[로고=사이냅소프트]
이를 통해 오랜 기간 축적된 디지털 문서 처리 분야의 기술력과 차별화된 초거대 AI 기술을 접목해 사업 확대에 나설 방침이다. 사이냅소프트는 지능형 문서 해석 엔진 ‘사이냅 DU’ 발표를 비롯해 생성형 AI를 적용한 사이냅 문서 뷰어와 사이냅 에디터, 사이냅 오피스 등 신제품을 출시하여 솔루션 기능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우선 사이냅소프트는 자체 기술력을 토대로 생성형 AI 언어 처리 모델인 ‘사이냅 DU’를 처음 선보일 예정이다. 사이냅 DU는 멀티 모달(multi-modal) 기술을 이용해 기존 언어 모델과 달리 문자와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가 담긴 문서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토대로 답변을 제공해 정보 획득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업무 생산성을 강화한다고 설명했다.
사이냅 DU가 최초로 적용되는 분야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공개되는 기업공시 정보 분야다. 여기에 사이냅 DU를 활용하면 상장법인의 방대한 공시정보를 보다 빠르게 파악하고 해석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이를 시작으로 추후 기업 및 기관 등 다른 분야로도 확장할 계획이며 궁극적으로 한글에 최적화된 한국형 언어 모델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사이냅소프트 기존의 제품에도 챗 GPT와 하이퍼클로바, 사이냅 DU 등 생성형 AI를 결합해 기능을 고도화한 신제품이 출시된다. 별도의 다운로드 없이 웹 브라우저 상에서 문서를 바로 볼 수 있는 ‘사이냅 문서 뷰어’에 생성형 AI를 적용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문서 검색 기능 대신 직접적인 질문을 통해 직관적으로 문서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지능형 문서 처리(Intelligent Document Processing) 기술을 구현할 예정이다.
HTML5 기반의 웹 콘텐츠 저작 솔루션인 ‘사이냅 에디터’에도 생성 AI와 OCR(광학문자인식)을 각각 연동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문서 초안 자동 작성, 내용 요약, 번역, 교정, 문체 변경 등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웹 문서 작성 및 편집이 대폭 간소화된다. 또 기존 아래한글과 워드, 엑셀, ODT 등 문서를 그대로 불러와 편집을 지원하는 임포트 외에도 ‘인쇄 문서에 대한 임포트’ 기능까지 지원해 웹 콘텐츠 제작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계획이다.
한편, 사용자가 원하는 주제에 따라 맞춤형 설문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폼 생성 솔루션을 포함한 ‘사이냅 오피스’에 한글에 특화된 대규모 AI 모델인 네이버 하이퍼클로바를 적용한다. 문서 초안 작성 및 편집, 요약 등 진정한 AI 문서처리 솔루션을 제공해 업무를 간소화하고 생산성을 강화할 방침이다.
전경헌 사이냅소프트 대표는 “최근 챗 GPT의 열풍으로 다수의 기업이 AI 시장 주도권 확보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며 “사이냅소프트는 초거대 AI를 접목해 솔루션의 기능을 고도화하고, 공공 및 교육, 민간 분야의 다양한 요구사항에 최적화된 AI 전자 문서를 제공해 업무 혁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하이퍼클로바 기반 사이냅 오피스를 비롯해 ‘사이냅 DU’를 탑재한 사이냅 문서 뷰어, 사이냅 에디터 등은 오는 5월 10일에 개최 예정인 국제인공지능대전(AI Expo Korea)에서 처음 선보일 예정이다.
[박은주 기자(boan5@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