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스토리지 & SAN스위치 & VTL 백업솔루션과 지능형 빅데이터, 클라우드 네트워크 솔루션 등 구매
[보안뉴스 엄호식 기자] 국가기관·지자체·교육기관·공공기관 등 2021년 공공부문 SW·ICT장비 총 사업금액이 5조 7,470억원(전년 확정치 대비 6,878억원, 13.6% 증가)으로 조사됐다. 세부적으로는 △SW구축 4조 3,111억원(전년대비 5,516억원, 14.7% 증가) △상용 SW구매 3,652억원(전년대비 440억원, 13.7% 증가) △ICT장비 1조 707억원(전년대비 922억원, 9.4% 증가)으로 집계됐다.

[이미지 = utoimage]
정부는 소프트웨어진흥법 제41조(SW사업의 수요예보),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 제29조(정보통신장비 수요예보), 정보보호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 제6조(구매수요정보의 제공)에 따라 공공부문의 SW·ICT장비·정보보호 구매 수요와 추진계획을 11월(차년도 예정)과 3월(당해 확정치)에 발표한다.
이 중 정보보호 관련 내용이 포함된 사업금액은 총 1조 2,456억원(전년대비 4,227억원, 51.4% 증가)이며, 해당 사업 내 정보보호 관련 투자·구매 예산은 6,939억원으로 조사됐다.
분야별로는 △정보보안 서비스 3,672억원(총 사업금액의 52.9%) △정보보안 제품 2,659억원(총 사업금액의 38.3%) △물리보안 제품 372억원(총 사업금액의 5.4%) △물리보안서비스 236억원(총 사업금액의 8.0%)으로 나타났다.
2021년 수요예보 중 4분기 보안 HW 구매 수요를 정리해보면, 4분기에는 HW 구매에 약 533억 8,300만 원이 집행될 예정이다. 원주시청은 CCTV 구매에 5억 7,000만원을, 남양주시청은 CCTV 카메라 신규설치에 2억 2,000만원을 집행한다.
경기도 여주시청은 방범용 CCTV 설치와, 도비 보조의 방범용 CCTV, 노후 CCTV 교체, 도비 통학로 CCTV, 그리고 다목적 CCTV 설치와 저화질 CCTV 교체(도비)에 총 3억 7,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공무원연금공단은 노후보안장비 구매에 7억 1,300만원을, 국방부는 암호장비사업에 269억 2,700만원을, 종로구시설관리공단은 CCTV 모니터링 영상정보장비 구매에 6,400만원을 집행한다.
대법원은 DB스토리지 & SAN스위치 & VTL 백업솔루션과 지능형 빅데이터, 클라우드 네트워크, 클라우드 서버 & 스토리지 구매에 총 45억 4,600만원을, 서산시청은 방범용 CCTV 구매에 12억 8,000만원을 편성했다.



▲2021년 4분기 HW 구매 수요[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엄호식 기자(eomhs@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