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협약식에서 4개 기관은 지역 중소기업의 안정적인 혁신 성장에 목표를 두고 현장감 있는 기술보호 활동에 힘을 쏟기로 했다.
각 기관은 앞으로 △중소기업 기술보호 수준 점검 및 보완 방안 안내 △홈페이지 보안 취약점 점검 및 IT보안 대책 안내 △산업기술 유출 시 전담수사기관 등과 원스톱 대응체제 구축 △기술보호를 위한 교육 및 세미나 공동 개발·운영 △산업보안 시스템 구축 사업 소개 등 활동을 실시할 계획이다.
4개 기관은 협약에 앞서 지난 6월부터 중소기업을 위한 ‘원스톱 정보보호 무료 지원 서비스’를 시행 중이다. 경기도 내 161만여개 중소기업이라면 경기중기청·한국산업단지공단 경기지역본부를 통해 언제든 신청 가능하며, 신청 순서에 따라 국가정보원·한국인터넷진흥원 담당자가 현장 방문해 정보보호 컨설팅을 진행한다.
2016년 1월부터 올해 6월까지 우리 주요 기술이 해외로 빠져나가려다 적발된 사례는 111건에 달하며 이 중 66건이 중소기업에 해당된다. 특히, 핵심 기술을 소유하고 있는 중소기업(주로 경기지역 소재)의 경우 기술 유출 문제가 매우 심각하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재택근무가 일상화되면서 랜섬웨어 및 이메일 해킹 등 사이버 공격도 급증하고 있다. 최근 기술 유출 우려가 매우 높아지고 있는 상활 속에서 경기지역 협업 사례가 더욱 주목받고 있다.
백운만 경기중소벤처기업청장은 이날 “기술보호 역량 강화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 국가 경쟁력 제고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라며, “이를 위해 유관기관과 협업으로 기술보호 지원 사업을 쉽고 빠르게 접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종태 한국산업단지공단 경기지역본부장은 “이번 업무협약은 기술보호가 취약한 중소·중견기업에게 산업보안에 대한 의식 강화와 중장기 보안대책을 수립하기에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화수 한국인터넷진흥원 경기정보보호지원센터장 역시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중소기업의 정보보호 지원을 위한 본 협약은 매우 의미가 크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국가정보원 지부장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경기 중소기업의 기술보호에 대한 인식 제고와 더불어 안전하게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기업환경을 만들어 가는데 국가정보서비스 기관으로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