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인프라 지원 사업 속도 올리고, 우리나라 강점 살릴 전략 도입해야...
중국발 딥시크 파장에 입법부가 팔 걷고 나섰다. 국내 AI정책 지원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딥시크 쇼크 대응과 AI 발전 전략 긴급간담회 단체사진 [사진=보안뉴스]
[보안뉴스 조재호 기자] 민주당 과학기술혁신특별위원회(과기혁신특위)는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딥시크 쇼크 대응과 AI 발전 전략’ 긴급간담회를 가졌다.
한국인공지능협회 등과 함께 한 이날 행사에서 황정아 과기혁신특위 위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딥시크가 우리 사회에 던진 충격이 크다”며 “토종 AI 모델의 개발은 중국 정부가 과학기술계를 대폭 지원한 결과인데,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대한민국은 어떻게 포지셔닝해야 할 것인가가 큰 화두가 됐다”라고 전했다.
이해민 의원은 축사를 통해 “딥시크는 오픈소스와 AI 최적화에 있어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를 전면에 드러낸 계기가 됐다”며 “기술 개발은 더 빨라지고 사용자의 선택은 다양해지겠지만, 정책 면에서 근본적인 방향성은 달라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간담회에는 이주석 연세대 연구교수와 고영선 SKT 글로벌 사업개발실 부사장, 하정우 네이버 퓨처 AI 센터장, 최홍섭 마음AI 기술총괄 대표, 김충일 피앤피시큐어 기술이사 등이 참석했다. 토론자들은 AI 기술현황 및 국내 산업계의 목소리를 전달하고 정책 제안 등을 진행했다.
하정우 센터장은 “국가 AI 인프라 지원 사업의 속도와 규모를 키워주셨으면 한다”며 “인공지능 G3을 위해서는 미국과 중국에 완전 종속되거나 강하게 바인딩이 껄끄러운 동남아나 중동 같은 함께 AI 생태계를 구축하는 방법이 있다”고 전했다. AI 정책 제안 중 단기 전략으로 기술 병역 특례를 제안한 것도 눈길을 끌었다.
최홍섭 대표는 “정부의 AI 전략에 있어 자본 경쟁보다는 추론 시장을 겨냥하는 방향이 유리하며, 이 중에서도 클라우드 추론보다는 임베디드 혹은 온디바이스 AI 같은 분야를 추천한다”며 제조업의 강점을 지닌 우리나라의 강점을 살릴 전략을 제시했다.
이어서 진행된 질의응답에서 국회의원들은 국가 AI 인프라 지원 사업의 방향성과 실질적인 AI 데이터센터 구축 방안, AI 연구자 육성 및 유출 방지, 한국판 빅테크 가능성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한편, 특위는 내달중 국회 과기정통위 차원에서 여야 합동 AI정책 지원 간담회를 갖는다고 밝혔다.
[조재호 기자(sw@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