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랜드, 서울 강서구청, 경북 상주시청 등 수요 주목
[보안뉴스 엄호식 기자] 정부는 소프트웨어진흥법 제41조(SW사업의 수요예보),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 제29조(정보통신장비 수요예보), 정보보호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 제6조(구매수요정보의 제공)에 따라 공공부문의 SW·ICT장비·정보보호 구매 수요와 추진계획을 11월(차년도 예정)과 3월(당해 확정치)에 발표한다.

▲2021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보고서[자료=보안뉴스]
국가기관·지자체·교육기관·공공기관 등 2021년 공공부문 SW·ICT장비 총 사업금액은 5조 7,470억원(전년 확정치 대비 6,878억원, 13.6% 증가)으로 조사됐다. 세부적으로는 △SW구축 4조 3,111억원(전년대비 5,516억원, 14.7% 증가) △상용SW구매 3,652억원(전년대비 440억원, 13.7% 증가) △ICT장비 1조 707억원(전년대비 922억원, 9.4% 증가)으로 집계됐다.
이 중 정보보호 관련 내용이 포함된 사업금액은 총 1조 2,456억원(전년대비 4,227억원, 51.4% 증가)이며, 해당 사업 내 정보보호 관련 투자·구매 예산은 6,939억원으로 조사됐다.
분야별로는 △정보보안 서비스 3,672억원(총 사업금액의 52.9%) △정보보안 제품 2,659억원(총 사업금액의 38.3%) △물리보안 제품 372억원(총 사업금액의 5.4%) △물리보안서비스 236억원(총 사업금액의 8.0%)으로 나타났다. 이에 <보안뉴스>에서는 CCTV의 2021년 3분기 공공 구매 수요를 예산 규모 순으로 간추려 소개한다.
예산규모를 알아보기에 앞서 <보안뉴스>와 <시큐리티월드>가 실시한 ‘2020/2021 보안시장 조사’에 따르면 2020년 CCTV&영상분야 시장규모는 1조 3,617억원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2021년에는 1조 4,009억원, 2022년에는 1조 4,275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국내 영상보안 시장의 2021년 품목별 예상 매출을 살펴보면 IP 카메라가 3,078억원(점유율 26.47%)로 가장 높았으며 DVR 및 영상저장 시스템(약 2,901억원, 20.71%)과 아날로그 카메라(2,004억원, 14.31%)가 뒤를 이었다.

[이미지=utoimage]
2021년 3분기 HW구매 수요 중 CCTV 구매 예산은 약 53억 1,800만원이다. 강원랜드가 콘도별 엘리베이터 CCTV 독립망 구축과 광장주차장 주차유도시스템 업그레이드에 각각 9억원과 8억원 등 총 17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서울시 강서구청은 방범용 CCTV 시스템에 5억 2,000만원을, 경상북도 상주시청은 방범용 CCTV에 5억원을 집행하며, 서울시 은평구청도 스쿨존 스마트횡단보도 인프라 시스템 구축과 지능형 CCTV 그물망 안전체계 구매에 각각 5억원과 4억 9,2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CCTV 구매 예산 규모 TOP 10]
1. 강원랜드 / 콘도별 엘리베이터 CCTV 독립망 구축 / 9억원
2. 강원랜드 / 광장주차장 주차유도시스템 업그레이드 / 8억원
3. 서울특별시 강서구청 / 방범용 CCTV 시스템 / 5억 2,000만원
4. 경상북도 상주시청 / 방범용 CCTV / 5억원
5. 서울특별시 은평구청 / 스쿨존 스마트횡단보도 인프라시스템 구축 / 5억원
6. 서울특별시 은평구청 / 지능형 CCTV 그물망 안전체계 구매 / 4억 9,200만원
7. 강원랜드 / 카지노&호텔 CCTV 디지털화 / 4억원
8. 한국공항공사 / CCTV 구매 / 1억 8,897만원
9. 경기도 여주시청 / 방범용 CCTV 설치 / 1억 6,500만원
10. 서울특별시 성동구청 / 다목적 CCTV 구매 설치 및 저화질 CCTV 교체 / 1억 3,100만원
한편, CCTV&영상보안 시장을 비롯한 물리보안과 사이버 보안에 대한 분야별 상세 분석 내용은 <2021년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보고서>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보고서에서는 사이버보안시장과 물리보안시장의 2020년 시장규모 및 2021년·2022년 예측치는 물론, 2021년 보안시장에서 주목해야할 ‘핫 키워드(HOT KEYWORD) TOP 10’을 소개해 앞으로 보안산업 및 솔루션 발전방향을 제시했다. 아울러 ‘보안뉴스 선정 2021 주요 사이버보안 솔루션’과 ‘시큐리티월드 선정 2021 주요 물리보안 솔루션’을 바탕으로 각 산업을 이끌 핵심 솔루션을 소개하는 한편, 현재 산업별 시장 현황과 산업별 사용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기업을 조사해 발표했다.
<2021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보고서>는 보안뉴스 웹사이트 내 관련 배너를 통해 구입 및 문의가 가능하다.
[엄호식 기자(eomhs@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