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농림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등의 사이버안전센터 보안관제 수요 주목
[보안뉴스 권 준 기자] 2021년 공공부문 정보보호 관련 수요 규모가 최종 확정됐다. 지난해 11월 예상치에 이어 지난 3월 18일 최종 확정치가 발표되면서 공공수요 확대에 기대를 걸고 있는 보안업계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정보보호 관련 내용이 포함된 사업금액은 총 1조 2,456억 원(전년대비 4,227억 원, 51.4% 증가)이며, 해당사업 내 정보보호 관련 투자·구매 예산은 6,939억 원으로 조사됐다. 이에 본지에서는 지난 2월 발간된 <2021년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 보고서>에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각 분야별 2021년 공공 구매 수요를 예산 규모 순으로 간추려 소개한다.

▲2021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보고서[자료=보안뉴스]
<보안뉴스>와 <시큐리티월드>가 실시한 ‘2020/2021 보안시장 조사’에 따르면 2020년 보안관제 시장규모는 2,038억원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2021년에는 2,091억원, 2022년에는 2,188억원을 각각 달성할 것으로 예상됐다.
보안관제 분야에서 최근 가장 핫한 이슈는 바로 인공지능(AI)의 도입이다. IBM은 보안관제 팀이 하나의 콘솔에서 전체 위협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할 수 있도록 새로운 데이터 소스, 통합 기능, 서비스를 포함시킨 클라우드 팩 포 시큐리티를 발표했다. IBM은 이를 통해 기업들이 보안관제를 현대화하고 제로 트러스트 보안 전략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안관제의 대표기업 중 한곳인 이글루시큐리티도 사이버 보안 분야에 최적화된 AI 기술을 토대로 보안관제의 효율성을 높이고 보안관제 역량을 상향평준화시키는 AI 보안관제 솔루션을 선보였다. 이를 통해 보안관제 요원의 역량과 경험에 따라 과탐·오탐·미탐이 발생했던 문제점을 해결하고, 걸러진 핵심 정보와 의심스러운 단서를 심층 분석해 고도화된 보안 위협 대응에 더욱 집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21년 공공부문 정보보호 수요에서 보안관제 예산은 3,173억 3,564만 6,210원이다. 다만 이 예산에는 우체국의 차세대 종합금융시스템 구축 1,815억원 등이 포함되어 있어 정확한 예산이라 보기 어렵다. 이중 주목할 만한 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체육관광 사이버안전센터 보안관제 위탁운영 예산 60억 5,600만원과 농림축산식품부의 사이버안전센터 위탁운영 예산 43억 8,000만원, 그리고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2020~2021년도 교육부 사이버안전센터 보안관제 운영 예산 37억 7,136만원 등이다. 올해 공공부문 수요 가운데 예산규모 순으로 뽑아본 보안관제 서비스 사업 TOP 10은 다음과 같다.
[보안관제 서비스 예산 규모 TOP 10]
1. 우정사업본부/ 우체국차세대 종합금융시스템 구축/ 1,815억
2. 고용노동부/ 고용노동행정 개발 및 유지보수 사업/ 209억 3,600만원
3.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정보화/ 148억 9,400만원
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 사이버안전센터 보안관제 위탁운영/ 60억 5,600만원
5. 한국콘텐츠진흥원/ 정보시스템 통합 위탁운영/ 47억
6. 농림축산식품부/ 사이버안전센터 위탁운영/ 43억 8,000만원
7. 한국서부발전/ (ICT지원) 전사 출입통제시스템 개선/ 40억
8. 국회도서관/ 전산장비 및 소프트웨어 통합유지보수사업/ 39억 1,600만원
9.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부 사이버안전센터 보안관제 운영/ 37억 7,136만원
10. 경찰청/ 보안관제시스템 유지관리 예산/ 6억 5,000만원
한편, 공공부문 시스템(단말) 보안 수요를 비롯해 공공부문 정보보호 수요를 분야별, 예산규모별로 모두 정리한 전체 리스트는 <2021년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보고서>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이번 보고서에서는 사이버보안시장과 물리보안시장의 2020년 시장규모 및 2021년·2022년 예측치는 물론, 2021년 보안시장에서 주목해야할 ‘핫 키워드(HOT KEYWORD) TOP 10’을 소개해 앞으로 보안산업 및 솔루션 발전방향을 제시했다. 아울러 ‘보안뉴스 선정 2021 주요 사이버보안 솔루션’과 ‘시큐리티월드 선정 2021 주요 물리보안 솔루션’을 바탕으로 각 산업을 이끌 핵심 솔루션을 소개하는 한편, 현재 산업별 시장 현황과 산업별 사용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기업을 조사해 발표했다.
<2021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보고서>는 현재 보안뉴스 웹사이트 내 관련 배너를 통해 구입 및 문의가 가능하다.
[권 준 기자(editor@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