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소방청]
차량에 비치해야 하는 소화기의 기준은 차량 종류 및 탑승 인원에 따라 달라진다. 7인승 이상의 승용차와 경형(1,000㏄ 미만)승합자동차는 능력단위 1 이상 소화기 1개를 비치해야 한다. 15인승 이하 승합자동차는 능력단위 2 이상 소화기 1개 또는 능력단위 1 이상 소화기 2개, 승차정원 16인 이상 35인 이하의 승합차는 능력단위 2 이상 소화기 2개, 36인승 이상 승합차는 능력단위 3 이상 소화기 1개 및 능력단위 2 이상 소화기 1개를 비치해야 한다. 화물(특수)자동차의 경우 5톤 미만은 능력단위 1 이상 소화기 1개, 5톤 이상은 능력단위 2 이상 소화기 1개 또는 능력단위 1 이상 소화기 2개를 비치하면 된다.
아울러 자동차 화재에 적응성 있는 소화기는 따로 있기 때문에 소화기 구매 시 차량용인지 확인이 필요하다. 자동차용 소화기 성능검사에서 인증받은 제품으로 반드시 소화기 본체용기 상단에 자동차 겸용으로 표시된 것을 구입해야 한다. 자동차용 소화기에는 차량용 분말소화기, 할로겐화물소화기, 이산화탄소소화기, 강화액소화기, 포소화기 등 5가지를 사용할 수 있다.
소방청 관계자는 현재 국토교통부 소관 법률에 있는 자동차 소화기 설치의무 규정을 ‘소방시설법’으로 이관 추진 중에 있으며, 이관 후 7인승에서 5인승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재 소화기 비치가 의무 사항인 아닌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더라도 화재 시 안전을 위해 적정한 소화기를 꼭 비치하기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