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양원모 기자]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김석환, 이하 KISA)은 4차 산업혁명 및 초연결사회 도래에 따라 온라인 서비스 시장에서 활용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연계정보(CI) 관련 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의견 수렴회를 오는 26일 KISA 서울청사에서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포스터=한국인터넷진흥원]
CI는 주민번호를 복원 불가하도록 일방향으로 암호화한 생성값으로, 주민번호 미수집 환경에서 웹사이트에 관계없이 동일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말한다.
그간 국내에서 CI는 온라인 인터넷 서비스 업계에서 간편결제 서비스, 마일리지연계 및 포인트, 중복이용 방지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돼 왔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개인정보 보호의 측면에서 본인확인 목적이 아닌 CI의 활용은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도 공존하고 있다.
이에 KISA는 CI의 활용 및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그간의 정책추이를 재점검하고, 산·학·연구계 및 이해관계자의 다양한 의견을 현장에서 수렴하여 향후 CI 제도 개선 방향을 검토하고자 의견수렴회 개최를 추진하게 됐다.
KISA 노명선 인터넷서비스지원본부장은 “이번 의견수렴회를 통해 각층의 의견을 종합하여 본인확인 제도 관련 규정(고시)을 정비하는 등 CI 정책 방향을 개선할 것”이라며 “본인인증이 요구되는 수준을 인터넷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범위에 따라 차등함으로써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 이용 하도록 하는 보증수준별 본인확인제도 도입검토 등 본인확인 서비스의 안전성 확보 및 이용 편의성을 동시에 높이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양원모 기자(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