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급차로 변경 및 급선회, 원심가속도 등 차량 거동 행태를 90% 이상 재현해 운전자 관점에서 교차로, 급커브구간, 고속도로 나들목/분기점(IC/JC)을 가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실험센터가 문을 연다.
[사진=국토부]
국토교통부는 지난 19일 경기도 화성에서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한국도로공사와 함께 ‘도로주행 시뮬레이터 실험센터’ 개소식을 개최했다.
‘도로주행 시뮬레이터 실험센터’는 가상현실(VR) 기법을 이용해 실제 운전 상황을 모의하는 가상 주행 실험시설로, 2015년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으로 선정돼 총 179.5억원(정부 146.9억원)의 연구개발비를 들여 구축했다.
기존의 도로는 노선설계, 기하구조, 도로안전시설, 표지판 등이 도로교통 전문가의 시각에서 검토·설치가 이뤄져 도로 이용자인 운전자 시각에서의 검토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도로주행 시뮬레이터 실험센터’ 구축으로 도로 환경에 따른 운전자 주행 행태 등을 실제 도로가 아닌 가상현실에서 검증이 가능해져, 보다 안전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자의 니즈(NEEDS)를 반영할 수 있게 됐다.
‘도로주행 시뮬레이터 실험센터’에서 모의 가능한 운전 상황은 다음과 같다.
종/횡방향 가속도·급차로 변경 및 급선회·원심가속도 등 차량 거동 행태를 90% 이상 재현해 운전자 관점에서 교차로·급커브구간·고속도로 나들목/분기점(IC/JC)을 가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운전자가 동일한 도로에서 실시간 병행운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해 운전자 간 상호작용을 평가할 수 있고, 실험차량을 승용차·트럭·버스로 다양화해 차종별 실험도 가능하다.
‘도로주행 시뮬레이터 실험센터’는 도로계획·설계, 교통안전·운영, C-ITS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다.
도로계획·설계 분야에서는 차종·차량의 운동 특성을 고려한 유출입 램프, 나들목(IC), 분기점(JC)의 설계, 분·합류부에 대한 가감속 차로 길이 및 교차각 설계, 도로부대시설 설치 방안 등의 적정성 검토에 이용할 수 있다.
교통안전·운영 분야에서는 운전자-도로·운전자-차량의 상호작용을 분석해 교통사고 잦은 곳의 발생 원인·최적의 개선 방안 도출이 가능하며, 도로시설 관련 지침 개정 시 사전 효과 검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C-ITS 분야에서는 자율주행 시대를 대비해 도로에서 필요한 통신 및 안전시설물에 대한 설치 위치·간격·운영 방안 등을 재정립할 수 있으며, 긴급제동장치 등 첨단 안전장치 작동 시 운전자의 인지 반응을 평가할 수 있다.
한편, 이날 개소식에는 실시간 병행운전·난폭운전 상황 묘사 등 다양한 도로교통환경의 도로주행 시뮬레이터 실험 시연이 함께 진행됐으며, 한국도로공사·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등 관계자와 학계·민간기업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도로주행 시뮬레이터 실험센터는 도로설계, 교통안전 등을 가상현실을 통해 검증이 가능한 최첨단 연구시설”이라며, “이용자 친화적 도로 환경 조성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