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전까지 국정과제 등 정책실명제 대상 사업은 담당자들이 내용을 작성해 기관 홈페이지에 일일이 게시했으나, 이번 개선에 따라 ‘정책실명 공개과제’로 한번 등록하면 정보공개포털과 자동 연계돼 국장 이상 결재문서가 원문으로 공개된다. 더불어 기안자부터 최종 결재자까지 실명과 직위 정보도 공개돼 정책의 책임성, 투명성이 강화될 전망이다.
온-나라 문서시스템은 289개 중앙부처 및 지방정부, 63만 공무원이 문서 관리 및 메모 보고 등 온라인으로 업무 수행을 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성과 관리, 정부 업무 평가 등 관련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연계·통합하는 시스템 행정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다부처 공동 추진 정책이나 협업과제에 대해 ‘공동기안’ 기능을 새로이 구현해 ‘클라우드 온-나라 문서시스템’으로 전환이 완료된 26개 중앙부처는 이 기능을 이용해 부처 간 공동기안·결재가 가능하게 된다. 올 연말까지 ‘클라우드 온-나라 문서시스템’의 전 부처 확산이 완료되면, 내년 상반기부터 ‘공동기안’ 기능을 활용한 칸막이 없는 협업 행정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전망이다.
더불어 출장 중에도 업무 처리가 지연되지 않도록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 중에도 문서를 열람하고 결재가 가능한 ‘모바일 전자결재’ 기능도 구현했다.
한편, 행안부는 26~27일 경북 경주시 더케이호텔에서 각 기관 ‘온-나라 문서시스템’ 담당자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온-나라 문서 및 문서유통시스템’ 발전 방안을 논의하는 토론의 장을 마련했다. 행사에서는 정부 혁신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클라우드 온-나라 문서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 및 지자체 확산 방안·국민과 행정기관 간 양방향 문서 유통 서비스 구축 방안 등에 대해 심도있는 토론을 진행했고, 기관 간 ‘공동기안·결재’ 기능 교육을 진행했다.
김일재 행안부 정부혁신조직실장은 “정부 혁신은 온-나라 문서 및 문서유통시스템을 통한 행정 업무의 간소화·표준화·정보화에서 시작된다”고 강조하고, “행정 효율화를 위한 시스템 구축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