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김성미] 2020년까지 세계 IoT(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28.8%, 국내 IoT 시장은 연평균 38.5%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0).jpg)
현대경제연구원은 최근 ‘IoT 관련 유망산업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하고, 세계 IoT 시장이 2015년 약 3,000억달러에서 2020년 1조 달러로 연평균 28.8%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같은 기간 국내 IoT 시장 규모는 3조 3,000억원에서 17조 1,000억원으로 연평균 38.5% 성장할 것이라 내다봤다.
‘IoT 관련 유망산업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연구원은 IoT 관련 유망산업으로 스마트홈과 스마트시티, 커넥티드 카를 꼽았다.
스마트홈은 가정에서 활용되는 모든 기기가 연결돼 능동적으로 상황을 인지하고 분석, 실행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세계 스마트홈 시장 규모는 2015년 약 98억 달러에서 2020년 약 43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IoT로 연결되는 스마트홈 관련 기기 수도 2015년 703만대에서 2020년 4,415만대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시티는 도시행정, 교육, 복지 등 도시 기능 운영에 IT 기술이 적용돼 도시의 효율성을 높이고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도시를 말한다. 선진국 대도시로 인구 유입이 심화하고 신흥국의 도시화 수요가 늘어나면서 2020년에는 세계 인구의 58%인 46억명이 도시지역에 거주할 것으로 전망된다. 도시 인구 증가에 따라 스마트시티 시장도 2012년 6,100억 달러에서 2020년 1조 5,600억 달러로 연평균 12.4% 성장할 것이란 전망이다.
보고서는 스마트홈과 스마트시티를 중심으로 IoT가 가전분야에 적용된 뒤 다음 보안분야에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커넥티드 카는 자동차와 IT 기술을 융합, 다른 차나 교통 인프라 등과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해 안전하고 편안하게 탈 수 있는 차다. 세계 시장은 지난해 263억 2,000만 달러에서 2020년 1,186억2천만 달러로 연평균 35.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IoT 성장세...소비자 불안은 여전
이처럼 IoT 관련 산업은 커지고 있지만, IoT 시장에 도사리는 위험요소는 여전히 소비자를 불안하게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jpg)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개인 소비자의 기기 구매 및 신기술 수용 능력은 55.9점으로 세계 평균(47.9점)보다 높다. 그러나 국내 소비자의 93.0%는 IoT 기기로 인해 개인 프라이버시가 침해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세계 평균(47.0%)보다 불안도가 높다.
공급 측면에서 활발한 연구개발 투자와 우수한 인적자원은 강점으로 꼽히지만, 기술 도입 역량은 5.4점, 혁신역량은 4.7점으로 미국이나 일본 등 주요국에 비해 낮았다.
인프라면에서는 높은 인터넷 보급률과 상대적으로 우수한 IT 관련 법·제도가 IoT 산업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최신기술 접근성과 입법기관 효율성은 다른 나라에 비해 낮아 신기술 활용 및 확산 저해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현대경제연구원 전해영 선임연구원은 “세계 IoT 산업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생태계를 조성하고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면서 “테스트베드로서의 강점을 내세워 글로벌 산업단지 조성 방안을 전략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성미 기자(sw@infothe.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