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6-2363, CVE-2016-2364
[보안뉴스 문가용] 현지 시각으로 6월 19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대략 19일에서 20일로 넘어오는 밤 사이에 미국의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을 통해 발표된 취약점들이다.
.jpg)
1. CVE-2016-2177
OpenSSL 1.0.2h 버전의 취약점으로 heap-buffer boundary와 관련된 포인터 연산을 올바르게 하지 않는다. 이로써 원격의 공격자가 s3_srvr.c, ssl_sess.c, t1_lib.c와 관련된 특정 행위를 통해 DoS 공격을 감행할 수 있게 된다.
2. CVE-2016-2178
OpenSSL 1.0.2h의 crypto/dsa/dsa_ossl.c의 dsa_sign_setup 함수에 있는 취약점으로 constant-time operation을 올바로 확인하지 않는다. 이로써 로컬의 사용자들이 DSA 비밀 키를 발견할 수 있게 된다.
3. CVE-2016-2362
Fonality 2016-06-01 이전 12.6~14.1i 버전에 있는 취약점으로 FTP 계정의 암호가 하드코딩 되어 있다. 이로써 원격의 공격자가 FTP 및 SSH 연결에 대한 접근권을 가질 수 있게 된다.
4. CVE-2016-2363
Fonality 2016-06-01 이전 12.6~14.1i 버전에 있는 취약점으로 /var/www/rpc/surun의 퍼미션이 매우 약하다. 이로써 로컬의 사용자가 루트 접근권한을 가질 수 있게 된다.
5. CVE-2016-2364
Fonality 2016-06-01 이전 12.6~14.1i 버전용 크롬 HUDweb 플러그인에 있는 취약점으로 비밀 키가 하드코딩 되어 있다. 원격의 공격자가 암호화 기술을 무력화시킬 수 있게 된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