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6-4574, CVE-2016-4579
[보안뉴스 문가용] 현지 시각으로 6월 10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대략 10일에서 11일로 넘어오는 밤 사이에 미국의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을 통해 발표된 취약점들이다.
.jpg)
1. CVE-2016-4356
Libksba 1.3.3 이전 버전의 DN 디코더의 append_utf8_value 함수에 있는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잘못된 utf-8 인코딩 데이터를 통해 DoS 공격을 할 수 있게 해준다.
2. CVE-2016-4414
Quassel 0.12.4 이전 버전의 core/coreauthhandler.cpp의 onReadyRead 함수에 있는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잘못된 handshake 데이터를 통해 DoS 공격을 할 수 있게 해준다.
3. CVE-2016-4478
Atheme 7.2.7 이전 버전의 modules/transport/xmlrpc/xmlrpclib.c의 xmlrpc_char_encode 함수에 있는 버퍼 오버플로우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XMLRPC 응답 리코딩을 이용하여 DoS 공격을 할 수 있게 해준다.
4. CVE-2016-4574
Libksba 1.3.4 이전 버전의 DN 디코더의 append_utf8_value 함수에 있는 Off-by-one 오류로 원격의 공격자기 잘못된 utf-8 인코딩 데이터를 가지고 DoS 공격을 할 수 있게 해준다. CVE-2016-4356의 불완전한 패치 때문에 발생한 취약점이다.
5. CVE-2016-4579
Libksba 1.3.4 이전 버전에 있는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DoS 공격을 할 수 있게 해준다. _ksba_ber_parse_tl과 관련이 있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