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5-8456, CVE-2015-8457

[보안뉴스 문가용] 현지 시각으로 12월 9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대략 9일에서 10일로 넘어오는 밤 사이에 미국의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을 통해 발표된 취약점들이다.
CVE-2015-8457
윈도우 및 OS X, 리눅스용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 18.0.0.268 이전 버전과 20.0.0.228 이전의 19.x 및 20.x 버전, 20.0.0.204 이전의 어도비 에어, 20.0.0.204 이전의 어도비 에어 SDK, 20.0.0.204 이전의 어도비 에어 SDK & 컴파일러에서 발견된 스택 기반의 버퍼 오버플로우 취약점으로, 공격자가 원격에서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CVE-2015-8407과 다른 취약점이다.
CVE-2015-8456
윈도우 및 OS X, 리눅스용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 18.0.0.268 이전 버전과 20.0.0.228 이전의 19.x 및 20.x 버전, 20.0.0.204 이전의 어도비 에어, 20.0.0.204 이전의 어도비 에어 SDK, 20.0.0.204 이전의 어도비 에어 SDK & 컴파일러는 공격자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타입 컨퓨젼(type confusion) 취약점을 악용해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한다. CVE-2015-8439와 다른 취약점이다.
CVE-2015-8455
윈도우 및 OS X, 리눅스용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 18.0.0.268 이전 버전과 20.0.0.228 이전의 19.x 및 20.x 버전, 20.0.0.204 이전의 어도비 에어, 20.0.0.204 이전의 어도비 에어 SDK, 20.0.0.204 이전의 어도비 에어 SDK & 컴파일러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특정 방법을 통해 임의의 코드를 실행케 하거나 DoS 공격을 가능하게 한다. CVE-2015-8045, CVE-2015-8047, CVE-2015-8060, CVE-2015-8408, CVE-2015-8416, CVE-2015-8417, CVE-2015-8418, CVE-2015-8419, CVE-2015-8443, CVE-2015-8444, CVE-2015-8451와는 다른 취약점이다.
CVE-2015-8454
윈도우 및 OS X, 리눅스용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 18.0.0.268 이전 버전과 20.0.0.228 이전의 19.x 및 20.x 버전, 20.0.0.204 이전의 어도비 에어, 20.0.0.204 이전의 어도비 에어 SDK, 20.0.0.204 이전의 어도비 에어 SDK & 컴파일러에서 발견된 UAF(Use after free) 취약점으로 임의의 코드를 실행하는 게 가능해진다. CVE-2015-8048, CVE-2015-8049, CVE-2015-8050, CVE-2015-8055, CVE-2015-8056, CVE-2015-8057, CVE-2015-8058, CVE-2015-8059, CVE-2015-8061, CVE-2015-8062, CVE-2015-8063, CVE-2015-8064, CVE-2015-8065, CVE-2015-8066, CVE-2015-8067, CVE-2015-8068, CVE-2015-8069, CVE-2015-8070, CVE-2015-8071, CVE-2015-8401, CVE-2015-8402, CVE-2015-8403, CVE-2015-8404, CVE-2015-8405, CVE-2015-8406, CVE-2015-8410, CVE-2015-8411, CVE-2015-8412, CVE-2015-8413, CVE-2015-8414, CVE-2015-8420, CVE-2015-8421, CVE-2015-8422, CVE-2015-8423, CVE-2015-8424, CVE-2015-8425, CVE-2015-8426, CVE-2015-8427, CVE-2015-8428, CVE-2015-8429, CVE-2015-8430 , CVE-2015-8431, CVE-2015-8432, CVE-2015-8433, CVE-2015-8434, CVE-2015-8435, CVE-2015-8436, CVE-2015-8437, CVE-2015-8441, CVE-2015-8442, CVE-2015-8447, CVE-2015-8448, CVE-2015-8449, CVE-2015-8450, CVE-2015-8452와는 다른 취약점이다.
CVE-2015-8452
윈도우 및 OS X, 리눅스용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 18.0.0.268 이전 버전과 20.0.0.228 이전의 19.x 및 20.x 버전, 20.0.0.204 이전의 어도비 에어, 20.0.0.204 이전의 어도비 에어 SDK, 20.0.0.204 이전의 어도비 에어 SDK & 컴파일러에서 발견된 UAF(Use after free) 취약점으로 임의의 코드를 실행하는 게 가능해진다. CVE-2015-8048, CVE-2015-8049, CVE-2015-8050, CVE-2015-8055, CVE-2015-8056, CVE-2015-8057, CVE-2015-8058, CVE-2015-8059, CVE-2015-8061, CVE-2015-8062, CVE-2015-8063, CVE-2015-8064, CVE-2015-8065, CVE-2015-8066, CVE-2015-8067, CVE-2015-8068, CVE-2015-8069, CVE-2015-8070, CVE-2015-8071, CVE-2015-8401, CVE-2015-8402, CVE-2015-8403, CVE-2015-8404, CVE-2015-8405, CVE-2015-8406, CVE-2015-8410, CVE-2015-8411, CVE-2015-8412, CVE-2015-8413, CVE-2015-8414, CVE-2015-8420, CVE-2015-8421, CVE-2015-8422, CVE-2015-8423, CVE-2015-8424, CVE-2015-8425, CVE-2015-8426, CVE-2015-8427, CVE-2015-8428, CVE-2015-8429, CVE-2015-8430 , CVE-2015-8431, CVE-2015-8432, CVE-2015-8433, CVE-2015-8434, CVE-2015-8435, CVE-2015-8436, CVE-2015-8437, CVE-2015-8441, CVE-2015-8442, CVE-2015-8447, CVE-2015-8448, CVE-2015-8449, CVE-2015-8450, CVE-2015-8454와는 다른 취약점이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