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5-7993, CVE-2015-7992
[보안뉴스 주소형] 현지 시각으로 11월 10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대략 10일에서 11일로 넘어오는 밤 사이에 미국의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을 통해 발표된 취약점들입니다.

1. CVE-2015-8105
Roundcube webmail 1.0.7, 1.1.x, 1.1.3 이전 버전의 program/js/app.js에서 발견된 XSS 취약점으로 인증된 사용자가 원격에서 파일명을 통해 임의의 웹 스크립트나 HTML을 삽입할 수 있습니다.
2. CVE-2015-8025
XScreenSaver 5.34 이전 버전에서 발견된 취약점으로 공격자가 핫 스와핑 모니터를 통해 잠금 스크린을 우회할 수 있습니다.
3. CVE-2015-7994
SAP HANA DB 1.00.73.00.389160(NewDB100_REL) 버전의 SQL 인터페이스에서 발견된 취약점으로 SQL 로그인과 관련된 명시되지 않은 벡터를 통해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SAP Security Note 2197428과 동일합니다.
4. CVE-2015-7993
SAP HANA DB 1.00.73.00.389160(NewDB100_REL) 버전의 확장자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 발견된 취약점으로 공격자가 원격에서 HTTP 로그인과 관련된 명시되지 않은 벡터를 통해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SAP Security Note 2197397과 동일합니다.
5. CVE-2015-7992
SAP HANA DB 1.00.73.00.389160(NewDB100_REL)에서 발견된 취약점으로 인증된 사용자가 원격에서 EXECUTE_SEARCH_RULE_SET와 관련된 명시되지 않은 벡터를 통해 서비스 거부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SAP Security Note 2175928과 동일합니다.
[국제부 주소형 기자(sochu@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